원문정보
Evaluation of Urban Energy Plant by Carbon Reduction Rates from Advanced Research
초록
영어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analyzed that the amount of used energy was increased, despite of high energy price. Korean government is pushing ahead with the policy for 'Low Carbon Green Growth' to deal with climate changes and to overcome energy problems. And many studies for low carbon green city or zero carbon city have been progressed. In this study, energy plants were selected by neural network analysis considering urban features and energy supply scenario was set on city planning. Also the way to evaluate energy scenario could be proposed to apply various energy plants for energy demand and made to systematize it. The calculated values were changed into index for comparison according to each energy scenario. Carbon reduction scenario was applied to evaluate actual city from each algorithm. Five energy supply scenarios by carbon reduction rate were evaluated in G complex.
한국어
국내에서는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에 대처할 뿐만 아니라 고유가에 따른 에너지 문제를 극복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이란 국가적 패러다임을 실천하기 위해 저탄소 녹색도시 또는 탄소 제로도시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도시계획단계에서부터 미활용에너지, 신재생에너지 등 저탄소 에너지원의 선정 및 평가 등에 관한 방법론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선행연구의 결과에서 제시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경기도 성남시의 G지구를 대상으로 4가지의 탄소저감율별 도시 에너지 플랜트를 평가함으로써 저탄소 녹색도시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의 결과
2.1 EnerlSS의 정의
2.2 도시 에너지 공급 시나리오 및 평가방안
3. 탄소 저감을에 따른 도시 에너지 플랜트 평가
3.1 적용사례 개요
3.2 탄소 저감율별 평가 결과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참고문헌
- 1에너지경제연구원, KEEI 에너지수요전망보고서, 제 14권 제4호, 2012.12.
- 2박진영.박률.이정재, 도시계획단계에서 EnerISS프로그램을 통한 에너지플랜트 평가방안 적용사례,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123-126, 2010.
- 3The Suggestion and application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Selecting Energy Plant on City Planning Step네이버 원문 이동
- 4Life Cycle Costing through Operating Number Control of Air Conditioning Systems in Office Buildings네이버 원문 이동
- 5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 경제성 분석, 2008
- 6에너지관리공단, CDM사업 투자결정 경제성 분석모형, 2007.
- 7EPSIS, 전력통계정보시스템 신재생에너지원 정산단가, 2011.
- 8전력거래소, 전력수급기본계획, 2010.
- 9한국토지주택공사, 광명시흥 보금자리주택지구 조성사업 에너지사용계획서, 2010.
- 10지식경제부, 자발적협약(VA) 가이드북, 2010.
- 11환경부,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을 위한 2006 IPCC 가이드라인, 2008.
- 12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 경제성 분석, 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