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권력이론’으로 본 정책이주지의 공간 구조에 대한 연구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1지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in the Housing Complex of the Political Migration through the 'Power Theory' based on the Banyeo 1 District in the City of Busan

조승구, 박희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city has widely interpreted by the historic and theoretical approaches, and separate interpretations for them has shown from various views and angles. In spite of such many trials, it has overlook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shapes of a society and a city. The shape of any city is a history made and built, not anything before a society is formed. The view which a city is regarded to the pre-phase of a society that is one of the misunderstood issues in the modern architecture. According to Foucault, power is a rather elusive idea and it is defined as a social actor to dictate the course of action of another actor when there is a conflict over the course of such action. In this sense, it assumes power requires overt conflict, thus eliminating from consideration the power which arises from ideological domin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among a city, power, and context centered on the housing complex of political immigration established in Busan-si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how power focuses attention upon the individual at the expense of the collective phenomena and urban structures. In sum, it is required to analyze and describe how city’s decision making is related to forms of urban structure in the housing complex of political immigration, how this relationship is variable, and whether the postulated relationship of power ensure that real interest and latent conflict are able to be openly diagnosed in the current context compared to other areas of the city of Busan.

한국어

도시는 광범위하게 역사적으로 이론적으로 해석되어 왔으며, 개별적인 해석은 다양한 시점과 관점으로부터 읽혀졌다. 그러나 연속적으로 간과되었던 것 중의 하나는 사회와 도시 공간 형상사이에 대한 긴밀한 관계이다. 도시 형태는 사회 현상 이전의 것이 아니며, 그것은 만들어진 것이고 지어진 역사이다. 사회 현상 이전의 것으로 도시를 보는 것은 근대건축의 잘못 이해된 이슈 중의 하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를 구축함에 있어 ‘권력’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부산시에 조성된 정책이주지를 중심으로 도시와 권력 그리고 문맥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특히 정책이주지는 권력이 도시형성에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음을 분석하고 서술하는 것이 필요하며, 또한 정책이주지의 물리적 형태, 정책이주지의 결정, 그리고 이러한 정책 결정이 그 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현재 도시의 문맥, 도시구조 및 형성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 것이 요구되며 이것이 본연구의 주목적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정책이주지의 공간구조
  2.1 근대적 도시공간구조
  2.2 정책이주지의 형성배경
 3. 반여1지구의 물리적 현황읽기
  3.1 도시맥락(Context)
  3.2 공공 공간(Public Space)
  3.3 주거환경(dwelling environment)
 4. 권력이론으로 본 반여1지구
  4.1 근대적 권력과 반여1지구
  4.2 변형으로서의 정책이주지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승구 Jo, Seung-Koo. 동명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건축학박사
  • 박희영 Park, Hee-Young. 동명대학교 건축학과,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