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아교육과 남자 신입생들의 학과입학희망에 따른 학과적응과 진로탐색, 적응원인

원문정보

Career Search, Adaptation and Reason for Adaptation of New Male Students Ente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김대욱, 박지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how the male students’ willingness to study ECE can affect their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and career in the field. Also,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turning point when, why and how the male students started to adapt. Seven new male students in a 4-year ECE education program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They met in focus group discussion, 1:1 and 1:2 counseling, and they were under personal observation for the research. As a result, male students who wanted to enter ECE had an easier time adapting to the atmosphere and had a more successful career path. On the other hand, those who didn’t want to enter ECE had help from other male students and a common goal to adapt to the environmen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남자 신입생들의 학과입학의지에 따라 학과적응과 진로탐색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 살펴보고, 입학을 희망하지 않던 남학생들이 학과에 적응하게 된 계기를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4년제 유아교육과 남자 신입생 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방법으로 포커스 그룹면담이 주로 사용하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개별심층면담, 2인 집단면담, 개인저널, 참여관찰을 병행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과 1학년 남학생들은 학과입학희망에 따라 학과적응과 진로탐색의 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입학을 희망하지 않던 남학생들이 학과에 적응하는데 공통의 관심사와 쉼터, 남학생들의 도움이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연구절차 및 자료수집
  3. 자료분석
 III. 연구결과
  1. 남자 신입생들의 학과입학희망에 따른 학과적응과 진로탐색
  2. 학과입학을 희망하지 않았던 유아교육과 남자 신입생들이 적응하게 된 원인과 적응을 위한 바램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대욱 Dae Wook Kim. 신구대학교 유아교육과 강사
  • 박지희 Ji Hee Park. 경인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