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Reorganization of Memories o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From the Nation to Citizen
초록
영어
The current paper reports a historical study which explored the motivation of major reforms i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The reforms pursued i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can be characterized by a slogan, “From the Nation to Citizen” which means a change from nationalist education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late 1980s whe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was planned, Korean society began to move away from authoritative order. However, it was not until mid-1990s that the participant citizenship was emphasized by social activists. Given the authoritative social atmosphere in the late 1980s, the project to remove nationalist tinge and restore democratic ideals in the national curriculum was considered as “progressive” or even “radical” and caused serious oppositions from social conservatives and various interest groups including teachers and college professors. This study inquired how the curriculum reformers conceived this “progressive” projects and what motivated them to implement the curriculum reform projects. Also, this study explored how they handled the social pressure and what changes were made in their plans because of the pressure. To fulfil this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er, first, reviewed historical documents including curriculum development reports, curriculum materials, newspaper articles, and participants’ memoirs. Then,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key participants of the curriculum amendment.
한국어
제 6차 교육과정은 권위주의적 교육과정에서 탈피하여 민주화 시대의 교육과정을 지향한 전환기의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다. ‘현대사회와 시민’의 구상, 국사의 사회과 편입, 국민윤리의 성격변화 등 다양한 개혁이 시도되었고, 특히 민주 사회의 주체라 할 수 있는 시민을 강조한 것은 민주시민교육이라고 하는 현대 교육의 목표를 회복하고자 하는 상징적 조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국가주의와 민족주의적 문화가 지배적이던 시대적 상황으로 미루어 볼 때 이러한 시도는 “진보적이지만 현실을 도외시한” 교육과정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또한 교과관련 이해집단으로부터도 다양한 저항과 비판을 받았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혁신을 주도했던 사람들이 어떤 동기를 가졌으며, 이들이 가졌던 당시의 시대적 맥락과 사회적 조건에 대한 인식은 무엇이며, 이러한 조건적 맥락 속에서 어떤 전략을 취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취지에서 계획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당시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보고서, 교과서, 교육과정,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를 담은 다양한 문서, 논문, 신문 기사 등을 분석하였으며, 교육과정에 참여한 주요 인사 5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제 6차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대한 기억을 재구성하여 보았다.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제 6차 교육과정 개정의 맥락과 쟁점
1. 제 6차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쟁점 및 이와 관련된개발자의 시각
2. 제 6차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사회적 반응
III. 제 6차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주요 참여자들의 기억의 재구성
1. 심층면접
2. 제 6차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기억의 재구성
3. 제 6차 교육과정 개정 과정의 재구성(요약)
I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