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명률직해』의 정본 확정을 위한 기초 연구 (1) - 고려대 도서관과 서울대 규장각 소장본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Fundamental Study on Daemyeongryul-Jikhae Focused on Recension of Texts (1)

장경준, 진윤정, 허인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aemyeongryul-Jikhae(大明律直解) is an Idu(吏讀)-translated version of The Great Ming Code(大明律) adapted for circumstances of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only versions of the reprinted editions that are estimated to be printed after the 16th century now. Since they show delicate differenc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m for classifying types and rectify texts for establishing the standard text. This study, at first, examined versions possessed at Korea University Library and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奎章閣). We reconfirmed descriptions in the literature about the material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m. On the other hand, we could correct disagreements and wrong details in the literature by the detailed investigation. Next, we rectified texts of the versions from the textual bibliographical view and presented the putative standard text. This helped with the type classification of ambiguous versions. It has been claimed that the different versions of Daemyeongryul-Jikhae in Korea are able to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The investigation, however, revealed that the Mansong-B version which has been classified as Pyeongyang type and the Korea University version which was newly found may be recognized as a type, the intermediate type, from material and textual aspects, whereas Mansong type can be subdivided into the Mansong-A type and the Hongmungwan(弘文館) type.

한국어

『대명률직해』는 명나라 법전인 대명률을 조선의 실정에 맞게 이두로 번역한 것이다. 원간본은 1395년에 간행되었으나 현재는 16세기 이후의 중간본으로 추정되는 이본들만 20여 종이 남아 있다. 따라서 현전하는 이본들의 계통을 파악하고, 각 계통을 대표하는 이본을 선정하여 텍스트의 대교 및 교감 작업을 거쳐 정본(定本)을 확정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그 첫 단계로서 고려대 도서관과 서울대 규장각에 소장된 9종의 이본들을 대상으로 형태서지와 내용서지를 조사, 기술하고 계통 관계를 검토해 본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 이본들의 형태서지적 특징을 살펴 선행연구에서 미처 언급하지 않았거나 잘못 기술한 일부 세부사항을 확인하고 바로잡았다. 그리고 조사 대상 이본들의 계통 파악을 위해 텍스트의 대교 및 교감 작업을 일부 수행하였으며,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은 판단에 이르렀다. 지금까지 국내에 전하는 『대명률직해』의 이본은 크게 만송문고본 계통과 평양간본 계통으로 분류해 왔다. 그런데 만송문고본 계통은 다시 만송문고A본 계통과 홍문관본 계통으로 세분할 가능성이 있으며, 기존에 평양간본 계통으로 분류되었던 만송문고B본과 새로 발견한 고려대본은 형태와 내용 양 측면에서 홍문관본과 평양간본의 중간에 위치하는 별도의 계통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판단은 물론 잠정적인 것이며, 최종 결론은 다른 이본들을 충분히 조사 검토한 이후에 내릴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1. 머리말
 2. 선행연구
  2.1. 내각문고본 및 만송문고본
  2.2. 홍문관본(옛 홍문관 소장본)
  2.3. 규장각본(평양간본)
  2.4. 만송문고본(만송문고본 영본)
 3. 조사 대상 『대명률직해』이본의 형태서지적 고찰
  3.1. 목록 및 편철상의 특징
  3.2. 권12의 제5장과 제6장의 특징
  3.3. 조항의 개수와 이름의 특징
  3.4. 그 밖의 특징
 4. 조사 대상 『대명률직해』이본의 내용서지적 고찰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경준 Chang, Kyong-jun.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 진윤정 Jin, Yun-jeong.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 허인영 Heo, In-yeong.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