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어사 교육의 내용 선정 현황과 방향성 탐색 - 근대국어 자료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Selection of Course Contents in the Education of Early Modern Korean

석주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udies what kinds of contents have been selected and arranged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and illuminates w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developing the proper curriculum of it. The success in developing good contents critically depends on whether we are able to choose the Hangeul texts which are pedagogically valuable among the numerous Hangeul texts(i.e. text-dependency). Therefore, I analyze modern Hangeul texts, take several examples as Hangeul archives suitable for the pedagogy, and set up the criteria for how to select the cours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history. They are canonization of archives, balance between learner’s interest and pedagogical value, variety & balance of publisher․genre․period, hierarchy of learning and teaching in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한국어

본고에서는 국어사 교육 내용 선정의 방향성 탐색을 위해 교과서 수록 근대국어 자료의 과거와 현재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사 교육의 내용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실적으로 교과서 안 음운, 형태, 어휘 등의 국어사적 교육 내용은, 수록될 자료가 결정되는 순간 그 자료에 종속되어 결정되는 ‘자료종속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과서 수록이 가능한 자료의 종류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바탕으로 그 국어생활사적 가치를 최대한 교육 내용 범위에 반영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본다. 아울러 우리말의 역사이기 때문에 배워야 하고 가르쳐야 한다는 논리로부터 시작하기보다는 우리말 역사를 드러내는 문헌 속 한글의 의의가 현재 우리 삶 속 한글이 가지는 의의와 먼 지점에 있지 않다는 ‘공감’과 ‘흥미’를 배경으로 음운, 형태, 어휘 등 우리말 역사에 대한 교수학습이 시작되는 것이 보다 더 교육의 수요자를 배려한 바람직한 방식임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시각 에 입각해 국어사 교육의 내용을 적절하게 선정하기 위해서는 자료가 가지는 정전성, 시기․장르․간행 주체의 다양성 및 균형성, 교육적 가치와 학습자 흥미의 조화성, 교수학습의 위계성 등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1. 머리말
 2. 국어사 교육의 쟁점과 근대국어 국어사 교육
 3. 근대국어 국어사 교육의 현황
  3.1. 1~6차 교육과정 시기: 1950~1990년대
  3.2. 7차 교육과정 및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
 4. 국어사 교육 내용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점
  4.1. 자료의 정전성(正典性)
  4.2. 시기, 장르, 간행 주체의 다양성 및 균형성
  4.3. 교육적 가치와 학습자 흥미의 조화성
  4.4. 교수학습의 위계성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석주연 Suk, Ju-yeon. 조선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