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vidence-based practice (EBP) for sensory integration (SI) interven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The screening strategy was performed to select studies for analysis after that, a meta-analysis was implemented for calculating the effect size (ES) in group studies. Twenty-four studies were included for a systematic review and included seven case reports, three single-subject designs, and fourteen group experimental design studies(thre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ree two groups nonrandomized studies, and six one group nonrandomized studies). The 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ies was moderate size of 0.272. The results of the ES according to the dependent variables, the ES was the largest in the fine motor development. The effect size of the published papers was greater than the unpublished paper’s and two groups nonrandomized studies’ size effect was the largest in the design. The ES of the infants was larger than the children. The ES for a period of 8 weeks, the number of five times a week, and time in 90 minutes showed the biggest in SI program. Although the ES of SI intervention in children with CP showed moderate effect, accumulation of research well be needed.
한국어
이 연구는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중재를 실시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근거기반실제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한 후 집단실험설계 연구에 대해서는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크기를 알아보았다. 분석대상 연구는 총 24편으로, 사례연구 7편, 단일대상연구 3편, 집단실험설계 연구 14편(무작위 임상실험설계 5편, 두 집단 비무작위연구 3편, 단일집단 비무작위연구 6편). 메타분석을 통해 실험연구의 전체 효과를 알아본 결과 0.272의 중간크기로 나타났다. 종속변수는 소근육 운동발달이, 출판여부는 출판된 논문이, 연구 설계는 두 집단 비무작위연구에서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가 아동보다, 감각통합중재 프로그램은 기간이 8주, 횟수는 주5회, 시간은 90분에서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한 감각통합중재는 중간 정도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각통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연구물의 축적이 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자료 수집과 분석대상 논문 선정
2.2 자료코딩
2.3 효과크기의 계산 및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분석대상 연구 특성
3.2 전체 효과크기
3.3 범주형 변수에 따른 분석
4. 논의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