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농촌지역 소택지의 토지이용별 식생특성

원문정보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Palustrine Wetland by Land-use in Rural Areas

손진관, 김미희, 강방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alustrine wetland is often used for development work and green area creation. However,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vegetation is not frequently considered in plann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vegetat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land-use of palustrine wetland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in assessment of palustrine wetland and restoration and creation of wetland. Survey sites were caterogized into paddy, field, and mountain. Each category had two sites, so total 6 survey sites were investigated for vegetation. As a result, with a range of 61~92 species, total 216 taxa were confirmed, consisting of 71 families, 168 generic, 187 species, 2 variety 1 forma 1 subforma. Mountain received a high score in the evaluation score range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10 families and 28 species of naturalized plant. Mountain showed low appearance, and fiddy and field showed relatively high appearance. Naturalized plants with slightly high vegetation cover ratio are Erigeron annuus, Amorpha fruticosa, Dactylis glomerata, Festuca arundinacea, Eragrostis curvula, Trifolium repens, Erigeron Canadensis, Ambrosia trifida, Oenothera odorata, Bidens frondosa, etc. Such naturalized plants should be removed to prevent terrestrialization of wetland and its harmful damages. Long-term monitoring and proper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are expected to improve palustrine wetland into high quality biotope of rural area in the future.

한국어

소택지는 개발공사 및 녹지조성 시 자주 이용되는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배려하 지 못하는 설계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소택지의 토지이용에 따른 식생특성을 알아보고 소택지의 평가, 습지의 복원 및 창출에 있어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논, 밭, 산으로 구분하여 2개소씩 총 6개소의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한 결과 식물상은 61종∼92종의 분포범위 로 총 71과 168속 187종 2변종 1품종 1아종으로 총 216종류가 확인되어 규모에 비해 높은 식생출현이 확인되었 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평가점수 분포는 산지형으로 대표되는 연구대상지가 밭이나 논으로 대표되는 곳보 다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귀화식물은 10과 28종으로 분석되었으며 산으로 대표되는 연구대상지가 낮은 출현을 보였으며, 이에 비해 논과 밭으로 대표되는 연구대상지는 비교적 높은 출현을 나타냈다. 식생피도가 다소 높게 나 타난 귀화식물은 개망초, 족제비싸리, 오리새, 큰김의털, 능수참새그령, 토끼풀, 망초, 단풍잎돼지풀, 달맞이꽃, 미 국가막사리 등이다. 이러한 귀화식물은 습지에서 자생식물을 도태시키고 물 흐름을 막아 습지를 육상화 시키는 습 지훼손의 주요한 요인으로 우선적으로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 귀화식물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소택지를 농촌지역의 우수한 비오톱으로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지
 Abstract
 1. 서론
 2. 조사 및 분석방법
  2.1 연구대상지
  2.2 식생조사 및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연구대상지 식생특성
  3.2 보호식물 분포 특성
  3.3 귀화식물 분포 특성
 4. 결론
 참고문헌
 Appendix

저자정보

  • 손진관 Son, Jin-Kwan. 정회원ㆍ단국대학교-농촌진흥청 학연협동박사과정
  • 김미희 Kim, Mi-Heui. 정회원ㆍ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연구관
  • 강방훈 Kang, Banghun. 정회원ㆍ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연구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