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n habitats of Nannophya pygmaea, an endangered species in South Korea.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s were investigated in abandoned paddy fields where N. pygmaea populations have been found in Chungcheongnam-do Kongju, Gyeonggi-do Kwangju and Gyeongsangbuk-do Mungyeong from 2009 to 2010. We surveyed the dominant vegetation, areas, water depth and temperature, and plant height and coverage to compare the wetlands living N. pygmaea and not living N. pygmaea. As a result, habitats of N. pygmaea in all regions were dominated by Salix koreensis community. There is no signigicant difference in the water temperature, plant height and coverage among wetlands of the three different sites, but depth was varied within 2.5~9.5cm. The water depth of habitat was deeper in Gongju than the others. Percentage of open water was 1.7~6% in the wetlands living N. pygmaea. but it did not appear in the wetlands not living N. pygmaea. Therefor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etlands as abandoned paddy field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N. pygmaea habitat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인 꼬마잠자리(Nannophya pygmaea Rambur: Libellulidae, Odonata)의 서식처에 대한 경관생태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는 2009년 6월, 2010년 4월, 6월과 8월에 걸쳐 꼬마잠 자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된 충남 공주, 경기도 광주와 경북 문경의 묵논 습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꼬마 잠자리의 생태적 서식지 특성은 각 지역에서 꼬마잠자리가 서식하는 곳과 인접한 습지 중 꼬마잠자리가 서식하 지 않는 곳에서의 우점식생, 면적, 수심, 수온, 식생높이와 식피율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우점식생은 모든 지역에서 버드나무군락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수온, 식피율과 식생높이는 습지간 차이가 없었고, 수 심은 2.5~9.5cm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개방수역은 꼬마잠자리가 있는 습지에서 1.7~6%의 비율로 나타났지만 꼬마잠자리가 없는 습지의 경우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꼬마잠자리 서식처의 지속적인 보전과 복원을 위해서 는 묵논과 같은 습지의 경관구조, 식생 및 물리적 환경특성을 반영한 생태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방법
2.1 조사 시기 및 지역
2.2 습지 내 꼬마잠자리 출현지와 비출현지의 환경 특성 조사
3. 결과 및 고찰
3.1 서식처 특성
3.2 수환경
3.3 식생환경
감사의 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