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한국산 패션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Study on the Impact of Korean Fashion Brand Personality on Brand Loyalty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김용주, 강명수, 김병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brand has emerged as the center of corporate management, brand personality has a lot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ttention. In a fashion product that symbolic benefit of consumption is meaningful, brand personality is more importa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rand personality of the korean fashion brand based on Aaker's brand personality scale. Also examined the impact of each dimension of brand personality on brand loyalty. In doing this, the difference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was compared.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Korean consumers perceived as dynamism, integrity and fashionable about korean fashion brand personality. Chinese consumers perceived as dynamism, professional and integrity about that. Integrity has the large impact on brand loyalty to korean consumers, compared dynamism to chinese consumers.

한국어

브랜드가 기업 경영의 중심으로 대두되면서 브랜드 개성 또한 이론적 및 실무적으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소비의 상징적 편익이 중요한 패션 상품에 있어서는 브랜드 개성이 더욱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아커의 브랜드 개성 척도에 기초하여 한국산 패션 브랜드 개성이 어떠하며, 브랜드 개성의 각 차원이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분석함에 있어서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들이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도 비교해 보았다.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 소비자는 역동성, 성실성, 유행성을 한국산 패션 상품의 개성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중국 소비자는 역동성, 전문성과 성실성을 개성으로 인식하고 있다. 한국 소비자들에게 있어서 브랜드 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개성 차원은 성실성이었으며, 중국 소비자들은 역동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중국 패션 시장
  2.2 브랜드 개성과 패션 브랜드 개성
  2.3 브랜드 애호도
  2.4 연구 문제의 제기
 Ⅲ. 실증 연구
  3.1 연구의 대상 및 방법
  3.2 연구의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용주 Yongju Kim. 한성대학교 의생활학부 교수
  • 강명수 MyungSoo Kang. 한성대학교 무역학과 부교수
  • 김병재 ByoungJai Kim. 상명대학교 국제통상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