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다국적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이해관계자 이론: Greenfield versus Brownfield

원문정보

MNE CSR and Stakeholder Theory: Greenfield versus Brownfield

박병일, Adam H. Cav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search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primary stakeholders who effectively supervis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by multinational enterprises (MNEs), which have invested in Korea. In particular, this research attempts to compare the key determinants between greenfield and brownfield investments. By using multiple regressions, we find that consumer, internal manager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play a pivotal role in promoting MNE CSR. In contrast, we also uncover that business partners function as a barrier for ethical behaviors by foreign firms. Among these variables, consumers are a catalyst enhancing CSR by greenfield type of subsidiaries, whereas government triggers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by acquired firms. A theoretical contributions are made by employing a stakeholder theory, and The findings suggest some useful implications for practising managers in MNEs which intend to enter the Korean market.

한국어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한국시장에 투자한 다국적기업의 자회사가 사회적 책임활동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감독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이를 촉진시키는 기업의 이해관계자를 알아보는데 있으며, 특히 자회사를 그린필드 유형과 브라운필드 타입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실증을 시도하였다. 회귀분석을 사용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소비자, 내부 관리자, 시민사회단체 등이 외국계기업의 사회적 기여를 견인하는 주요 인자로 확인되었으며, 반면 국내 비즈니스 협력기업은 오히려 부정적 효과를 가져오는 장애요인으로 기능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들 변수들 중 특히, 소비자는 그린필드 유형의 자회사에게, 정부는 브라운필드 타입의 자회사에게 사회적 기여를 요구하고 있는 주된 요인임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이해관계자 이론을 활용하여 언급한 연구주제를 실증해 봄으로써 이론적 기여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제시된 실증결과는 한국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다국적기업에게 유용한 실용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이론 및 가설
  2.1 1차 이해관계자
  2.2 2차 이해관계자
 Ⅲ. 연구방법
  3.1 표본과 자료수집
  3.2 변수측정
  3.3 동일방법편의
 Ⅳ. 결과 및 토론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박병일 Byung Il Park. 한국외대 경영학부 부교수
  • Adam H. Cave 한국외대 경영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