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개인의 내면으로 침잠된 전쟁의 풍경 : 장이머우 영화 <금릉십삼채>의 ‘집’ 이미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Landscape of War in Personal Memories of Nanking : An analysis of the 'House' images from <The Flowers of War>, the Chinese film directed by Zhang Yimou

문현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s a new movie made by Director Zhang Yi-mou, who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directors from the fifth generation in China. It is about 'the anti-Japanese struggle' related to the historical event of the fall of Nanking by the Japanese army in 1937, However, while such movies as and describe such a historical event with an objective point of view, shows the way of recalling the event through the eyes of a girl named Shu-juan from the boarding school of Winchester Cathedral. This article focuses on how different the historical fact restructured with a personal point of view is when compared to those of other movies. At the beginning of the movie, the girls from the boarding school try to leave Nanking fallen to the hands of the Japanese army, but they soon decide to return to the cathedral. The movie ends when they finally leave the place. In the movie, the only spatial background is Winchester Cathedral which symbolizes a new 'house' and represents the western modernizati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oint that Shu-juan sees Nanking with the integrated image given by the symbolic 'house' of Winchester Cathedral. Also, it analyzes the texts of the movie in terms of three factors such as the vertical-horizontal features of the spac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life, death and regeneration of the people living in the space, and the hostile and personal views towards the space. First of all, Winchester Cathedral shows the western type of modernized 'house' showing a strong image of vertical arrangement. However, such a vertical type of space also shows the horizontal feature of oriental 'house' with the characters symbolizing the tradition of Nanking, including 'Qinhuaihe's Women'. The vertical-horizontal features show the grades of up and down. However, such grades seem to be flexible enough to be reversed. All those men and women living in the space lead the process of death and regeneration. The death of a man represents the death of a father protecting his family. The movie starts with the death of Father Englemann who is the protector of the cathedral and ends with the death of Shu-juan's father. Through the process, an American funeral director named John, who used to be disqualified as a father, recovers his role as a father protecting the family. The death of a woman represents a predicted and symbolic kind of death. Through the process, Qinhuaihe's women recover their statuses as 'girls and children'. Also, there are 'the hostile point of view' given by a young officer of the Chinese army and 'the nostalgia point of view' given by Shu-juan. 'The hostile point of view' based on the Yenan dogma of Mao Zedong prior to the period of reformation and opening soon disappears in the movie. Only 'the nostalgia point of view' given by a girl recalling one of the historical scenes as a beautiful memory is left behind.

한국어

중국 제 5 세대 대표 감독인 장이머우(Zhang Yi-mou)의 신작 <금릉십 삼채(The Flower of war)>는 1937년 일본군에 의한 남징(Nanking) 함락이 라는 역사적 사건을 제재로 삼는 이른바 ‘항일전쟁’ 영화이다. 그러나 <난 징 1937>이나 <난징!난징!>과 같은 기존의 영화들이 대개 객관적인 시선을 유지하며 이 역사적 사건 자체를 묘사하려고 했던 것과 달리, <금릉십삼 채>는 윈체스터 성당 기숙학교의 어린 여학생 수줸(shu-juan)의 눈을 통해 이 사건을 회상하는 형식을 띠고 있다. 본고는 이처럼 개인화된 시선으로 재구성된 역사적 사실이 어떻게 기존의 영화들과 차별화되는지에 주목한 다. 영화의 시작 부분에서 함락된 난징을 떠나려던 기숙학교의 여학생들은 결국 성당으로 되돌아오며 이들이 이 공간을 떠남으로써 영화는 끝난다. 영화가 진행되는 내내 유일한 공간적 배경은 바로 서구적 근대화를 상징하 는 한편 새로운 ‘집’을 상징하는 윈체스터 성당이다. 본고는 수줸의 눈에 비친 난징이 결국 윈체스터 성당이라는 상징적 ‘집’으로 집약되는 점에 주 목하고 이 공간의 수직-수평성, 그 공간에 거주하는 사람들 삶-죽음과 재생 -의 문제, 그리고 그 공간을 바라보는 시선-적대적 시선과 개인적 시선-이 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영화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먼저 윈체스터 성당은 수직적 배치의 성격이 강한 근대화된 서구의 ‘집’ 이다. 그런데 이 수직적 공간은 ‘친화이허(Qinhuaihe)의 여자’라는 난징 전 통을 상징하는 인물들이 출현함으로써 동양적 ‘집’의 수평성을 포괄한다. 이 수직-수평성은 일단 위와 아래라는 위계를 지니지만, 이 위계는 전도될 수 있는 유동성을 지니며, 이 공간에 거주하는 남성과 여성들의 죽음과 재생의 과정을 이끈다. 남성의 죽음은 집을 지키는 자, 보호자로서의 아버지 의 죽음을 상징한다. 영화는 성당의 주인이었던 잉글만 신부의 죽음으로 시작되고 수줸 아버지의 죽음으로 마무리된다. 이 과정에서 미국인 장의사 존은 자격상실의 아버지에서 보호자라는 아버지의 신분을 회복한다. 여성 들의 죽음은 예견된 죽음이자 상징적으로 예행된 죽음이다. 이 과정을 통 해 친화이허 여자들은 ‘소녀-어린아이’의 신분을 회복한다. 이 과정을 지켜 보는 것은 젊은 중국군 장교의 ‘적대적 시선’과 소녀 수줸의 ‘노스탤지어적 시선’이다. 개혁개방 이전 마오쩌둥의 옌안 도그마에 의해 주어졌던 ‘적대 적 시선’은 이 영화 속에서 곧 소멸하고, 역사의 한 장면을 아름다운 추억 으로 회상하는 소녀의 ‘노스탤지어적 시선’만이 남는다.

목차

1. 서론
 2. 공간의 양극성 : 첨탑과 지하실
 3. 공간의 이중성 : 죽음과 탄생
 4. 공간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 저격용 스코프와 예배당의 스테인드글라스
 5. 결론 : ‘파괴된 집’으로서의 난징(南京)
 참고 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문현선 MOON Hyoun-Sun. 이화여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