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한중 수교 20년의 인문학적 조명

한중수교 이후 중국조선족 소설의 변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 2000년대 소설에 나타난 ‘새로운 이주 체험’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nge in Korean-Chinese Novels since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 Based on ‘New Immigration Experience’ as shown from novels in 21st century -

김형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fter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Korean-Chinese Society changed following the path of Korean-Chinese migration. The fact that they left their settlements also means that they free themselves from limited but stable space that guarantees their local specific distinctiveness. Therefore, although they have built their own identity in a limited space called Yanbian within the national frame of China, it is very likely that they will express their identity more seriously. As shown in recent novels, there are case patterns showing how serious segregation is: the severed and shattered family due to familial segregation experience, collapsed Korean-Chinese communities with decreasing ethnic consciousness, etc. They also experience a sense of alienation while adapting to new environment and meeting new people. This even led them to be recognized as strangers and to get confused about their identity. These patterns show the current condition of Korean-Chinese who already internalized the segregation. At the same time, this condition highlights that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actively cope with the segreg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ir own status while actively dealing with new encounters after migration, there are other novels which seek for solutions by reflectively researching our consciousness or enhancing the relation with South Korea and Koreans. Some even highlight the ethnic identity of Korean-Chinese by arousing tradition and history. These novels try to seek and solidify the status of Korean-Chinese as a new group after migration. In different sense, they are becoming a prologue to the meeting and mutual exchange surpassing the nationalistic frame.

한국어

한중수교 이후 조선족 사회의 변화는 조선족의 광범위한 이동 흐름과 함께 한다. 이러한 이동 흐름은 그들의 존재적 특수성을 보장해주던 제한적이고 안정적인 공간에서 벗어남을 의 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중국이라는 국가적 테두리 속 연변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던 그들의 정체성은 이전과는 다른 균열감을 표출할 가능성이 있다. 최근 소설들에서 드러나는 가족의 분리 체험으로 인한 관계의 단절과 파탄, 민족의식의 약 화에 따른 조선족 공동체의 와해에 대한 위기감 등은 바로 이러한 균열감을 심각하게 드러내 는 양상들이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만남 과정에서 부각되는 소외감과 그로 인해 여전히 확인 되는 이방인, 주변인으로서의 타자적 지위와 정체성의 혼란 또한 그들의 균열감을 부각한다. 이러한 양상들은 균열감을 내면화한 조선족의 현재 상태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면서 동시에 최 근의 상태가 균열감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요구되는 상황임을 강조한다. 반면에 이주로 초래되는 새로운 만남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자신들의 위상을 새롭게 정 립하고자 하는 작품들도 있다. 이들은 과거의 전통과 기억을 환기하면서 조선족의 민족적 정 체성을 강조하거나 우리 의식에 대한 반성적 탐구, 한국, 혹은 한국인과의 관계 조정 등을 시 도한다. 이전과는 다른 이주 체험 속에서 새로운 만남의 주체로 조선족의 위상을 모색함으로 써 한중 수교 이후 최근 소설들이 국가주의적 질서를 넘어서는 만남과 교섭의 서사임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1. 조선족 사회의 변화와 조선족의 이동
 2. 가족의 분리와 ‘우리’ 상실에 대한 위기감
 3. 타자(성)와의 만남과 수평적 관계 전환
 4. ‘우리’에 대한 성찰, 혹은 나르시시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형규 Kim, Hyeong-Gyu. 아주대학교 기초교육대학 강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