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및 동아시아 인문학

1930년대 한ㆍ중 여성소설에 나타난 현실 인식 양상 - 박화성의 <홍수전후>와 띵링(丁玲)의 <홍수>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Perception on reality in novels by Korean and Chinese female writers during 1930s -focusing on <Before and After the Flood> by Park Hwaseong and <The Flood> by Ting Ling(丁玲)-

高飛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y Park Hwaseong and by Ting Ling were published by the time when the writers were going through changes in their writing styles; it suggests significant importance that the novels functioned as a turning point in changing the view on miserable life of the farmers and the farmers' communities in Korea and China during 1930s. Also, the novels were based on similar time period in Korea and China, similar motif(natural disaster) and similar theme(farmers in extreme poverty), which is worth a comparison. This paper examines the perception on reality revealed in the novels through study on how the two female writers portrayed the life and reality of the farmers in both Korea and China during 1930s and how the farmers realized and faced the struggles against a natural disaster, ‘flood’. Two novels share a common ground by showing poverty in the farming communities due to floods during that time and portraying farmers being awakened and dealing with the struggles caused by floods. However, the difference is that showed difficult life of farmers by portraying the physical appearances of the main characters whereas showed miserable life of the farmers and the children who were starved in lack of food. In addition, the portion of class issue was rather reduced because the natural disaster(flood) motif was over-emphasized in whereas displayed the striking comparison between the life of refugees in extreme circumstance and the landowners' comfortable living, which shows the difference.

한국어

박화성의 <홍수전후>와 띵링(丁玲)의 <홍수>는 두 작가의 소설 경향성이 바뀌기 시작한 시기에 발표된 작품으로, 1930년대 한․중 농촌 사회와 농민들의 비참한 삶을 인식하는 전환 점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두 소설은 한국과 중국의 비슷한 시대적 배 경을 바탕으로 하여 창작된 것으로, 자연재해라는 비슷한 소재와 극한적 빈곤 상황에 처한 농 민들의 실태라는 비슷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비교의 가치가 있다. 본고는 두 소설을 중심으로 1930년대 한․중 양국 농촌의 현실과 농민의 삶을 이 두 여성 작가가 어떻게 형상화하고 있으며, 또한 ‘홍수’라는 자연재해를 계기로 그들이 어떻게 각성하 고 투쟁하는지에 대한 고찰을 통해 두 소설에 드러나는 현실인식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두 소설은 모두 홍수로 인한 농민들의 참상을 바탕으로 당시 농촌 사회의 빈곤현실을 보여 주었다는 점과 홍수를 계기로 농민들의 각성해 가는 과정을 그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 을 공유한다. 그러나 <홍수전후>에서는 주로 인물의 외모에 대한 묘사를 통해 농민들의 고달픈 삶을 보여주었다면, <홍수>에서 양식(糧食)의 결핍으로 굶주림에 허덕이는 아이들과 농민들을 통 해 비참한 삶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홍수전후>에서 홍수라는 천재지변의 요소가 지나치게 강조되어 계급모순의 문제는 상대적으로 축소되어 나타나는데 비해, <홍 수>에서는 극한적 상황에 처한 피난민들과 지주계급의 안락한 생활을 대조적으로 묘사함으 로써 계급모순이 부각되어 나타난다는 점 등에서도 변별성을 보인다.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극한적 빈곤과 모성의 훼손
 3. 농민의 각성과 투쟁의지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高飛 고비. 아주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