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인문학

한자어 접미사 ‘-的’의 문법적 성격에 대한 고찰

원문정보

Research on Grammar Property of the sion-Korean suffix ‘-的’

董磊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 the background of grammatical uses of the suffix ‘-jeok(的)’ in sino-Korean by comparing ‘-jeok(的)’ of Japanese with that of Chinese. This essay compared and analysed ‘-jeok(的)’ derivative word presented in Japanese of the Meiji period, a civilized age and modern Korean. I figured out that ‘-jeok(的)’ derivative word used in Japanese of the Meiji period is very similar to that used in civilized age.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factors antecedent ‘-jeok(的)’ increased but factors postcedent ‘-jeok(的)’ decreased in modern Korean, comparing to Korean in civilized age. I traced a suffix ‘-jeok(的)’ ultimately originated in ‘-dih(底)’와 ‘-dii(地)’ of Chinese and also dug up the source of both nominal and adverbial properties presented in ‘的’ by examining the traditional Chinese ‘-jeok(的)’. I made sure that there have been changes in the factors of an antecedent and postcedent but no changes in the entire parts of speech of derivative word. Furthermore, I investigated a theory about nominal loss of ‘-jeok(的)’ derivative word.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어에서 ‘-的’파생어가 다양한 문법적 성격을 갖게 된 배경을 일본어 ‘-的’과 의 비교와 중국어 ‘-的’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본고는 우선 명치 일 본어, 개화기 한국어, 그리고 현대 한국어에 나타난 ‘-的’파생어를 비교ㆍ분석하였다. 이를 통 해 명치 일본어와 개화기 한국어에 사용된 ‘-的’파생어들이 매우 유사한 모습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고, 개화기 한국어에 비해, 현대 한국어에서 ‘-的’에 선행하는 요소가 다양해지며 후 행하는 요소가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중국어 ‘-的’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한국어에서의 접미사 ‘-的’은 궁극적으로 중국어에서의 ‘-底’와 ‘-地’에서 기원한 것으로 파악 되었으며, 나아가 ‘-的’파생어가 갖고 있는 명사성과 부사성의 始原을 밝혔다. 이러한 고찰과 아울러 ‘-的’파생어의 기본적인 문법 범주는 처음 등장한 이후 계속해서 명사성과 부사성을 가진다는 것이 재확인되었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한․일 두 언어에서의 문법적 비교
 3. 통사적 범주에 대한 검토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董磊 동뢰. 中国海洋大学 朝鲜语系 助教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