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30년대 한국 모던 걸(Modern Girl)의 化粧文化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f the cosmetics culture of the Modern Girl Korea 1930s

1930년대 한국 모던 걸(Modern Girl)의 화장문화에 관한 연구

이숙연, 정연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n makeup to be spread out into the world in modern society, the makeup of the 1930s culture to study the significance that this study tried to feed this study. Era was the oppression of the Japanese and World War II in the 1930s due to the atrophy of Beauty Culture, despite a peak in trained men and women from fashion to beauty culture had achieved. The 1930s, the modern Girl make of makeup culture analysis and Korea Beauty Culture laid the basic foundation of the research that you want to aim. Between the rate of change of trends and fashion makeup, makeup cultural and social order is influenced by the social influence. In particular, an increase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accelerate changes in the makeup popularized and influenced the makeup to bring cultural diversity. It may be the emergence of new ideas and elements to build the most stylish women in the rigid shape of the modern girl of the 1930s, and they pursue more than one concept, in the form of makeup. Modern girl was a symbol of modernity. New sensual style and knowledge of the owner, showed through the style of these (costumes, hair, decoration, language, rituals, etc.) will go to find their identity as a modern subject. Professor of beauty ten intensive analysis in the modern girl that corresponds to the 120 photos from the Western and South Korea's modern walk to work compared to the feasibility of the selected photos and pictures are commonly rated targets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dern girl, especially Western women, was an enthusiastic response to the Star. Mimesis bromide thinking of the female star like fashion, makeup, hair style and according to the star's appearance or behavior such as gestures or speech, gait. Second traditional Damjang important elements of culture to cultivate the appearance of things soon to express the inner beauty of these virtues, culture became gentle and elegant makeup. Third modernism, I experience it follows the fashion phenomenon as representing the modern sense of modernism that customs and ideas quickly accept the forerunner of modern western actress beauty of your eyes to the nose of the modern woman's beauty is the measure of the deep greatly to show the three-dimensional makeup began.

한국어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서구와의 문화적 교류를 통해 한국식 화장이 세계로 뻗어 나갈 수 있게 밑바탕이 되었던 1930년대의 化粧文化를 연구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1930년대 일제의 억압과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면서 미용문화가 위축이 되었지만, 근대 교육을 받은 모던 걸이나 모던 보이가 유행할 정도로 미용 문화에 있어서 최고점을 이루었던 시대를 살펴봄으로써 1930년대 한국 모던 걸의 화장문화를 분석하고 한국뷰티 문화연구의 기초적인 토대마련을 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화장 문화와 사회질서 사이 화장의 경향과 유행의 변화속도는 사회적 영향력에 의해서 좌우된다. 특히 교육기회의 증가와 대중화는 화장의 변화를 가속화 시키고 화장 문화의 다양성을 가져오는데 영향을 미쳤다. 1930년대의 경성에서 최고로 세련된 여성인 모던 걸의 형상을 구축하는 요소들, 그들이 이상으로 추구한 개념이나, 화장의 형태는 새로운 관념의 등장이라 할 수 있다. 모던 걸은 근대의 상징이었다. 새로운 감각적인 멋과 지식의 소유자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스타일(화장, 의상, 두발, 장식, 의식, 등)을 통해서 근대적 주체로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찾아 가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여 고찰하였고 문헌연구는 각종 논문, 서적, 잡지 등을 참고로 살펴보았고 실증적 고찰을 위해서는 1930년대 발간된 여성지를 중심으로 사진을 수집, 조사, 분석, 평가 하여 사용하였다. 사진은 120개의 사진에서 한국의 모던 걸이라고 판단되는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사진선정은 뷰티관련 교수 10명의 집중적인 분석에서 모던 걸에 해당하는 사진이라고 공통적으로 평가한 사진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던 걸들은 특히 서구 여성 스타에 열광적인 반응을 보였다. 여성 스타의 브로마이드를 사고 패션과 화장, 머리스타일과 같은 스타의 외양을 따라하거나 제스처나 말투, 걸음걸이와 같은 행동 양식들을 미메시스 하였다. 둘째 淡粧文化의 중요요소인 외형을 가꾸는 일은 곧 내면의 미를 표현하는 것으로, 이러한 미덕을 바탕으로 온화하고 우아한 화장 문화를 이루었다. 셋째 모더니즘은 근대적 감각을 나타내는 현상으로 모더니즘이라는 풍습과 유행을 따르고 그것을 체험한 사상을 신속하게 받아들이는 선두주자인 모던 걸들은 서양 여배우의 아름다움이 근대여성의 아름다움의 척도가 되어 코를 높이고 눈매를 깊고 크게 보이기 위해 입체 화장법이 시작되었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모던 걸의 개념
  2. 모던 걸의 발생배경
  3. 1930년대 시대적 배경
  4. 모던 걸의 미덕
 Ⅲ. 1930년대 뷰티문화
  1. 머리
  2. 패션
  3. 화장
 Ⅳ. 1930년대 화장 기법
  1. 피부
  2. 눈
  3. 입술
  4. 윤곽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숙연 Lee, Sook-yeon. 건국대학교
  • 정연자 Jung, Yeon-ja. 건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