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 교과내용학 >>

세종대왕의 효행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ilial Behavior of King Sejong

조남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grasp the filial behavior of the Great King Sejong(世宗大王, 1397∼1450)who was the fourth king in the Joseon Dynasty. His father was Tae-jong as the third king. And his mother was Wonkyunghou(a daughter of Minjae) who was a revolutionary partner in that time. King Sejong(Chunglyoung) was born the third son of Tae-jong. The relations between the father and the mother were poor. Because the Tae-jong had many royal concubines, killed his wife’s brothers, and changed the crown prince(Yanglyoung) as the third son by way of selecting of wise prince. Therefore, the political situation became restless. Nevertheless, King Sejong dedicated his best efforts to respect his parents and to make a brotherly love. The mind of filial affection was molded by natural intelligence and constant studying of Confucianism. And his filial behaviors were realized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in the thoughts and the ceremonies. In the political life of King Sejong, the brotherly love had the same meaning with filial duty. Then the royal family was stabilized and made a moral nation. The problem of morality and the way of government were regarded as a same vein in the political behavior of King Sejong. And he was considered a good and wise king in the Korean political history.

한국어

1397년 태조 이성계의 5남 이방원과 부인 민씨 사이에서 태어난 충녕대군 세종은 조선조의 성군으로 유명하다. 그의 성군정치 발현에는 여러 가지 요인을 말할 수 있지만 특히 부모를 공경하고 섬기는 마음이 한시도 잊지 않는 효심의 측면이 간과될 수 없다. 그 깊은 효심으로 말미암아 왕자시절에는 왕자다움의 모습을 보일 수 있게 하였고 또 군왕이 되어서는 군왕다움의 이상을 구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효행 배경으로서의 부왕과 모후 관계는 순탄치 못했고, 또 부모가 바라는 형제 우애의 환경 역시 안정적이지 못했다. 태종은 미래의 왕권 확보를 위해 처남 4인을 모두 제거하는 정치적 결단을 보였고, 충녕대군 세종은 장형 양녕대군의 세자 자리에 오르면서 곧바로 군주가 되는 격변의 상황이었던 것이다. 이처럼 어려운 여건에서도 세종은 어려서부터 보였던 부모 공경에의 행실에 변함이 없었으며, 신하들이 끈질기게 추구하는 두 형과의 분리운동에도 하등 동요됨이 없는 우애의 길을 걸었다. 그리하여 세종은 부모에 대한 직접적인 효행은 물론, 부모가 걱정하던 형제 분란의 문제를 제거함으로써 그 간접적인 효행의 모습까지 보이는 것이었다. 그러한 효심의 구현은, 마침내 신하들이 우려하던 정정불안의 차원을 넘어 어진 정치전개의 원천으로서, 또 도덕적 정치문화 발전의 기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 논문에서는 바로 이러한 맥락을 따라 『조선왕조실록』을 근거로 그 각각의 내용을 심층적으로 파악해 보았다. 그리고 세종 효심의 열정은 타고난 총명성과 호학의 과정에서 확장되었다는 점, 그 효행의 실상은 유교 고전에서 논하는 효자의 원형으로 평가된다는 점, 및 그의 효행은 어떠한 사상이나 이념 또는 정파나 이권을 넘어서는 본심의 초월적 차원에서 지향되는 절대적 성격의 것이었다는 점을 밝혀 보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세종 효행의 배경
  1. 부왕의 부부불화
  2. 효행 과제로서의 부모공경과 형제우애
 Ⅲ. 세종 효행의 실제
  1. 부모공경의 행실
  2. 군왕으로서의 형님 존경
 Ⅳ. 세종 효행의 특징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남욱 Cho, Nam-Uk. 부산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