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 교과교육학 >>

도덕과 교육 내 ‘한국 양명학’의 실제와 강화 방안 연구 - 하곡 정제두의 사상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tudy about the Actual Fact of ‘the Korea Yang-Ming Studies’ within Moral Education and the Strengthening Plan : Focusing on Ha Gok, Jung Je-Doo’s Thoughts

김민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fact of ‘the Korea Yang-Ming studies’ within moral education, and is to suggest positive introduction plan of the Korea Yang-Ming studies with thoughts of Ha Gok, Jung Je-Doo as the center. The Korea Yang-Ming studies that was represented as the Ganghwa school was first imposed within moral subject through ‘2007 revision moral subject curriculum’ and its choice curriculum 『ethics and thoughts』 textbooks. This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erms that field that was isolated in Korea ethical thoughts meantime was imposed by level of school education. But the Korea Yang-Ming studies of within moral subject curriculum and textbooks is a lot of aspect to modify and supplement in status securing or content introduction. About these issues has occurred, this researcher judged that because regular study that to match moral subject and the Korea Yang-Ming studies not exist during that time. So by proceeding this study, this researcher wants to abstract and say ‘content elements’ and ‘educational elements’ worthy of introducing with moral subject from thoughts of Jung Je-Doo is equal to authority of the Korea Yang-Ming studies. This researcher will suggest ‘triple structure of principle’ and ‘unity of the thing and its functions of Yangjee’ and so on with thing to apply ‘subject content element’ and will suggest ‘moral enlightenment’ is involved goal of moral subject and ‘convergence and divergence of mind’ is involved method of moral subject and so on with thing to apply ‘subject educational elemen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과 교육 내 ‘한국 양명학’의 실제를 검토하고, 하곡 정제두의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 양명학의 적극적 도입 방안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강화학파(江華學派)’로 대변되는 한국 양명학은 ‘2007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선택 교육과정 『윤리와 사상』 교과서를 통해 최초로 도덕과 내로 도입되었다. 이것은 그간 한국윤리사상에서 소외되었던 분야가 학교 교육의 차원까지 도입되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크다. 하지만 현재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의 한국 양명학은 위상 확보나 내용 소개에 있어 수정, 보완해야 할 점이 적지 않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 것에 대해, 본 연구자는 그 동안 도덕 교과와 한국 양명학을 연결시키려는 심도 있는 연구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한국 양명학의 태두(泰斗)인 정제두의 사상으로부터 도덕 교과로 도입할 만한 ‘내용학적 요소’ 및 ‘교육학적 요소’들을 추출, 밝히고자 한다. 교과 내용학적 요소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리(理)의 삼중 구조’ 및 ‘양지(良知)의 체용합일적 이해’ 등을 제시할 것이며, 교과 교육학적 요소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도덕과의 목표와 관련되는 ‘명각(明覺)’ 및 방법과 관련되는 ‘마음의 수렴[實德․實理]과 발산[生意]’ 등을 제시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도덕과 교육 내 한국 양명학의 실제
  1.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검토
  2. 한국 양명학의 적극적 도입 필요성
 III. 정제두 사상의 교과 내용학적 도입 요소
  1. 리(理)의 삼중 구조
  2. 양지(良知)의 체용합일적 이해
 IV. 정제두 사상의 교과 교육학적 도입 요소
  1. 도덕과 교육의 목표로서 ‘명각(明覺)’
  2. 도덕과 교육의 방법으로서 ‘마음의 수렴과 발산’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민재 Kim, Min-Jae. 안동대학교 윤리교육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