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업특성에 따른 환경규제 위반과 환경회계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Violations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Firm's Characteristics and the Need of Environmental Accounting Education

김형덕, 홍지윤, 정진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ation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firms' characteristics in technical, financial and structural aspects.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chnical ability affects violation tendency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It is recognized that as R&D investment increases, violation likelihood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decreases. It can be conjectured that R&D investment may improve technical abilities of observing environment regulations. Second, As proxies of financial capabilities, the current ratio, debt ratio, cash flow, and profitability are us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proxies and violation likelihood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It represents that a firm with better cash flow or profitability does not always invest more on environment matters. Third, structural aspects of a firm such as capital intensity, the number of employees, the size of a firm and export ratio are investigated. It is found that a firm with higher capital intensity tends to violate environmental regulations. However, it is observed that as the number of employees or industry size increases, violation likelihood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decreases. Since relationship with outside stakeholders such as PR and IR are significantly important to a sizable firm, such a firm makes an effort on observance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외감법 적용대상 기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기업의 환경규제위반과 환경규제준수능력의 관계를 기술적 측면, 재무적 측면, 구조적 측면을 바탕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D투자비중이 높을수록 환경규제준수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R&D투자 확대로 인한 환경기술능력의 향상은 환경규제준수능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기업의 재무적 측면인 유동비율, 부채비율, 현금흐름, 영업이익률이 환경규제준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기각되었다. 이는 재무성과가 더 좋은 기업일지라도 반드시 환경에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구조적 측면인 자본집약도와 종업원비중, 기업규모(size), 수출비중이 환경규제위반과 준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유형자산이 많은 자본집약적 기업일수록 유의하게 환경규제를 위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업규모가 클수록, 종업원비중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환경규제준수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가 크면 PR, IR등 대외관계가 중요하기 때문에 환경규제를 준수하고자 노력할 것으로 여겨진다. 반면에, 수출비중과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기업이 지속적인 성장과 환경문제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의사결정 도구로서 환경회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데, 이는 기업이 환경문제에 능동적이면서 지속적으로 대응하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기업의 환경성과와 환경투자 등에 대한 정보를 요구할 때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기 때문이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선행연구와 가설설정
  1. 환경성과와 재무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2. 환경규제와 관련된 선행연구
  3. 가설 설정
 Ⅲ. 연구 설계
  1. 표본의 선정 및 변수의 측정
  2. 연구모형
 Ⅳ. 실증분석 결과
  1. 표본에 대한 기술통계
  2. 상관관계 분석
  3. 다변량분석
  4. 환경회계 교육의 필요성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형덕 Kim, Hyung Duk. 국민대학교 회계정보학과 박사
  • 홍지윤 Hong, Ji Yoon. 국민대학교 경영학부 조교수
  • 정진향 Jung, Jin Hyang. 여주대학교 세무회계정보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