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 시모노세키의 신라전승에 관한 일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Silla Legends in Shimonoseki of Japan

노성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Shimonoseki city of Yamaguchi Prefecture was the main contact point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ancient times, it has a number of stories and legends related to Korean peninsular.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image of Silla people, described in domestic documents such as records of diplomatic mission of Joseon Tongsinsa (Diplomatic Envoy from Joseon to Japan), and Japanese ancient manuscripts such as "Kiki", Record of Natural Features, etc., focusing on the current rituals of shrine and folk lo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illa people we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it is Simonoseki that Silla people resided in from early times. The good examples include the tales of Itotsuhiko kingdom of Hikoshima(彦島), Hatashi(秦氏) of Hatao(幡生) and a Silla barber of Kameyama Hachimangu(亀山八幡宮). Second, Silla was depicted as a fearful being which invaded Japan. The representative examples comprise the story of White Horse Tomb(白馬塚) written in records of Joseon Tongsinsa. Further examples include Japanese legends of Jinrin (塵輪), Ushioni(牛鬼) and a Magnificent Bird. All the examples illustrate that Silla invaded and threatened Japan. Third, Silla was represented as an object of offense and conquest. The examples are the creation myth of the Kanju (干珠, literally tide-ebbing jewel) and Manju (満珠, literally tide-flowing jewel) and Suhouteimatsuri (数方庭 祭) of Iminomiyajinjya (忌宮神社). Fourth, Silla was perceived as the birthplace of technology and culture. The example is the story of a Silla barber who transmitted technology to the first Japanese barber. As mentioned above, Silla was not only a fearful being who attacked Japan and an object of counterattack and conquest, but also the birthplace of a new civilization. As shown above, the image of Silla people in folk lore is extremely negative. The legend of Japanese Empress Sin-gong, who was said to conquer Silla, greatly contributed to making a negative impression. It would be more reasonable not to say that the record of “Kiki” fixed the bad image, but to say that the bad image could be reproduced at any time if such an outside-originating crisis like Mongol Invasion of Japan took place. The structure of the case is that if such crises were repeated more frequently the image of Silla would get worse.

한국어

야마구치현(山口縣) 시모노세키(下關)는 고래로부터 한일간의 창구역할을 했던 곳인 만큼 이곳에는 한반도와 관련된 전승이 많다. 본 연구는 국내자료로서는 조선통신사들의 사행록, 그리고 일본측에는 8세기에 성립된 고문헌을 비롯한 현재의 신사의 제의와 민간전승을 중심으로 그 속에 신라인들이 어떻게 그려져 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신라인은 다음과 같이 묘사되고 있었다. 첫째는 시모노세키는 일찍부터 신라인들이 거주했던 곳이었다. 히코시마(彦島)의 이토츠히코 왕국(伊都都彦王國), 하타오(幡生)의 하타씨(秦氏), 가메야마하치만궁(亀山八幡宮)의 신라인 이발사 이야기 등이 그 좋은 예이다. 둘째는 신라는 일본을 침략하는 공포적인 존재라는 점이다. 그 단적인 예가 조선통신사 기록에서 보인는 백마총(白馬塚) 이야기, 그리고 일본 측의 진린(塵輪)과 우시오니(牛鬼), 거대한 새의 전설이다. 이러한 전승은 모두 신라가 일본을 공격하여 일본에게 위협하는 존재로서 묘사되어있다. 셋째는 신라는 공격과 정벌의 대상이라는 점이다. 그 예가 만쥬(滿珠), 칸쥬(干珠)의 기원신화, 그리고 이미노미야 신사(忌宮神社)의 스호테이 마츠리(数方庭祭)일 것이다. 넷째는 신라는 새로운 기술문화의 발생지라는 인식이 있다는 점이다. 그 예가 일본인 최초의 이발사에게 기술을 전달하는 신라인 이발사 이야기이다. 이처럼 신라는 일본을 공격하는 위협적인 존재이며, 그에 따라 퇴치와 정벌의 대상이었던 한편 새로운 문화의 발신지이었다. 전승에 나타난 신라인상은 대체로 부정적이다. 이러한 데는 신공황후(神功皇后)의 신라정벌담의 역할이 컸다. 이것은 고대의 문헌에 국한하여 고착화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몽고군의 일본침략과 같이 외부로부터 위기가 초래되면 언제나 재생산될 가능성이 높았다. 그것이 반복되면 될수록 신라의 이미지는 나빠질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시모노세키에 정착한 신라인
 Ⅲ. 조선통신사 기록에 나타난 백마총
 Ⅳ. 지역전승에 나타난 신라
 Ⅴ. 마무리
 參考文獻
 Abstract

저자정보

  • 노성환 No, Sung-hwan. 울산대학교 일본어ㆍ일본학과 교수. 비교신화학, 비교민속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