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万葉集에 나타난 도시문화 연구 - 相聞歌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apital Culture in Manyousyu – focused on Soumonka

만엽집에 나타난 도시문화 연구 - 상문가를 중심으로 -

이상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a Japanese ancient state, legal codes of the Nara and Heian eras are distributed by the Daika innovation. Although capital city was also moved well, from the Emperor Jito era Fujiwarakyo is new for being built. It carried out by forming capital city culture. In the inside of such environmental transformation, The Manyousyu  was born. This research has considered the change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capital city culture reflected in the Manyousyu love poem song Soumonka. Although it is that the China style marriage system was introduced into the ancient Japan society by legal codes of the Nara and Heian eras distribution, Also after distributing legal codes of the Nara and Heian eras, the phenomenon which collided with the existing traditional customs is reflected in the love poem song Soumonka as it is. It is as showy as the Tenno system establishment as a tyrant. The patience which is the time which transfered the capital in Heijokyo which is capital city, and which got mixed up for wado 3 years, and a virtue which it must have as the Empress, and endless love were required forcibly. The Tenno system as a tyrant is established, The period which got mixed up 710 which transfered the capital to Heijokyo which is showy capital city, The patience which is a virtue which it must have as the Empress, and endless love were required forcibly. such an antique demand is accepted, constituting the songs which are told from collaboration, in order to make Empress Iwahime who is the incarnation of jealousy sublimate with the incarnation of love, It was edited in the beginning-of-a-book song of the Manyousyu Volume 2 love poem song Soumonka. The song of the Manyousyu volume 2 love poem song group is a love song which the valuable person who lives on the court which exists at the center of capital city, and courtiers, such as a government official, exchanged. It is the love play performed by one of the court lives rather than saying that this love poem song is for obtaining the love. As long as the Emperor's virtue is being made to flow out of Fujiwara Miya situated in the center of Fujiwarakyo, the society based on a greeting is maintained in Fujiwarakyo. Such order of Fujiwarakyo was also the proof of the Emperor's morality. A possibility of love of deviating from social order is high. For example, I would like to meet also in the daytime which works. Then, society comes to induce the idea referred to as being evading the “person word" of the words of the “public notice" which is others' eyes about love, and others'. It appeared by the poetical word. It is the Fujiwarakyo age. Elegant person which keeps the order of the society based on the decorums of Fujiwarakyo is called “Miyabio". “Miyabio" who is often reflecting the elegant style of Fujiwarakyo is “Otomonosukunenotanusi". Because “Ishikawanoitatume" is sensual “Miyabio", she becomes a background which newly makes “Miyab" of Heijokyo.

한국어

일본 고대국가에서 다이카 개신(大化改新, 645년)으로 전제군주 국가 확립을 위하여, 율령이 반포되고, 그 동안 자주 이동되던 왕도(王都)도 한 곳에 장기간 건설되고 점점 확장․발전되어 갔다. 본 논문에서는 만요슈(万葉集) 소몽카(相聞歌)에 투영된 왕도문화의 번천과정과 그 특성을 고찰해 보려고 한다. 고대 일본에 중국의 혼인 제도를 그대로 적용하려는 율령을 반포한 이후에도, 고대의 전통적인 풍습인 모계제 잔재와 “부부가 따로 살며 남편이 밤에 아내의 처소로 다니는” 「妻問婚」 등이 율령의 시행과 부딪치는 현상이 相聞歌에 그대로 투영되어 있어서, 율령사회로 나아가는 과도기에 남녀의 사랑이 얼마나 힘들고 어려웠던 것인가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전제 군주로서의 천황제가 확립되고, 화려한 왕도 서울인 헤이죠쿄(平城京)로 천도한 와도(和銅) 三(710)년을 전후한 시대에, 황후로서 지녀야 하는 덕목인 「인내」와 「끝없는 사랑」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시대적 염원에 부응하여, 질투의 화신인 「이와히메노 오호키미(磐姬皇后)」를 사랑의 화신으로 승화한 것이다. 즉, 万葉集 卷二 相聞의 권두가군(卷頭歌群)은 그 동안 구전되어 오던 노래들을 모아, 연작 형식으로 재구성하여 磐姬皇后가 닌토쿠 천황(仁德天皇)을 그리워하는 相聞歌로서 스토리를 엮어 재배치된 것이다. 万葉集 卷二 相聞歌 가군의 노래는 왕도의 중심인 궁정에서 생활하는 고귀한 사람과 관인 등 궁정 사람이 주고받은 연가(戀歌)다. 이 연가는 본연의 목적인 사랑을 얻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궁정생활의 하나로 행해진 연애유희인 것이다. 후지와라쿄(藤原京)의 중심에 위치하는 후지와라궁(藤原宮)에서부터 천황의 덕(德)을 유출(流出)하는 한, 藤原京에서는 예(礼)가 지켜는 사회가 된다. 황도 서울이 礼에 의해 질서가 지켜지는 것이야말로 천황의 덕성을 증명하는 것이다. 연애는 사회적인 질서로부터 일탈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예를 들면, 연애를 하게 되면, 노동을 해야 하는 대낮에도 연인을 만나고 싶은 법이다. 그래서 연애는 남의 시선인 「히토메(人目)」와 남의 말인 「히토고토(人言)」를 기피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히토메」과 「히토고토」가 가어(歌語)로서 와카(和歌)에 등장하게 되는 것은 후지와라쿄(藤原京) 시대부터인 것이다. 藤原京의 礼을 근간으로 한 질서를 지키는 사람을 「미야비오(風流士)」라고 한다. 藤原京의 풍류(風流)를 잘 반영하고 있는 풍류사라고 하는 「미야비오(風流士)」는 「오호토모노 스쿠네타누시(大伴宿祢田主)」고, 「이시카와이라스메(石川女郎)」는 보다 호색적인 색채를 띤 「미야비오」로서, 헤이죠쿄(平城京)의 「미야비(風流)」로 나아가는 가교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기
 Ⅱ. 과도기의 사랑
 Ⅲ. 磐姬皇后의 相聞歌
 Ⅳ. 戀愛遊戱
 Ⅴ. 서울 스타일(都風)
 Ⅵ.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저자정보

  • 이상준 Lee, Sang-joon.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