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38년 일본어연극 <춘향전>의 조선 ‘귀환’과 제국일본의 조선 붐

원문정보

1938年日本語演劇<春香伝>の朝鮮「帰還」と帝国日本の「朝鮮ブーム」

서동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1938년 10월 무라야마 도모요시(村山知義)가 연출한 일본어연극 <춘향전>이 현해탄을 건너 식민지 조선에 나타났다. 이렇게 일본어로 다시 태어난 <춘향전>은 식민지 조선의 문화계에 일종의 ‘붐’과 같은 현상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춘향전>에 쏠린 관심과는 대조적으로 공연 자체에 대한 식민지 지식인의 평가는 전반적으로 인색했다. 무엇보다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들은 일본어와 일본인 배우에 의해 재현된 <춘향전>이 기존의 <춘향전>이 담고 있었던 ‘조선적인 것’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다고 한 목소리로 불만을 표출했다. 이러한 불만에는 무라야마가 야심차게 시도한 가부키적 연출법도 한 몫을 했다. 즉, 가부키의 도입이 <춘향전>을 조선적 전통에서 이탈시켰다고 보았다. 그리고 논란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춘향전>의 경성 공연 직후 열린 좌담회에서는 조선의 문화를 일본어로 표현가능한가를 둘러싸고 일본인 문학자와 조선 측 참석자 간의 날선 대립이 벌어졌다. 일본어연극 <춘향전>은 이렇게 전례 없는 관심과 더불어, 일본인 제작자와 조선인 수용자, 그리고 수용자로서의 일본의 문학자와 식민지 문학자 사이의 메우기 힘든 균열을 드러냈다. 이처럼 <춘향전>을 둘러싼 갈등=균열은 <식민제국=일본>과 <식민지=조선>이라는 경계선을 따라 표출되었다. 하지만 이것을 문화제국주의와 문화민족주의 사이에 일어난 ‘침략’과 ‘저항’의 구도로 이해하는 것은 성급하다. 왜냐하면 표면적으로 일본 측 지식인들은 식민지 조선 민족문화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지 않았으며, 문화적 저항의 태도를 고수하면서도 일부 식민지의 지식인은 중국에서의 전쟁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행보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식민지 문화의 표상공간에서 제국의 언어인 일본어의 독점적 지위를 주장했던 일본인 측의 논리는 현실적으로 문화제국주의처럼 기능하지 않을 수 없었다. 민족어로 표현할 권리를 박탈당한 민족문화는 자율적인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일본어연극 <춘향전>에서 비롯되어 1940년 전후에 정점에 달한 제국일본의 ‘조선 붐’은 식민제국에 의한 식민지 문화의 ‘재발견’이기보다는 식민지 민족문화의 소멸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일본어

1938年、村山知義の演出した日本語演劇<春香伝>は玄海灘を横断しなが ら、植民地朝鮮にブームような現象を巻き起こした。とりわけ、当時の内鮮 一体というスローガンと相まって、日本語演劇<春香伝>は内鮮一体の演劇的 再現と見なされた。しかしながら、講演そのものに対する植民地文化人の反応は ほとんど批判的であった。なにより植民地朝鮮の知識人において、日本語と日本 人によって表現さらた<春香伝>は、いわゆる朝鮮的なものを失ったもののように 見えたからである。さらに、村山が意識的に導入した歌舞伎的演出法は、植民 地文化人の不満を増幅した。演劇をめぐる攻防はこれに限らなかった。日本語演 劇<春香伝>の京城講演の後、行われた座談会では日本語創作をめぐって日本 人文学者と朝鮮人文学者間の対立も現れた。植民地朝鮮における日本語演劇 <春香伝>をめぐるブームは、このように異見なきの熱狂を意味するものではな かった。それはむしろ接点を見つけなかった欲望がぶつかる葛藤の空間に近いもの であった。そして、こうした葛藤は例外なく植民帝国=日本/植民地=朝鮮と いう境界線=分割戦に沿って現われた。しかしそのような亀裂=葛藤を文化帝 国主義の侵略と文化民族主義の抵抗として見なすことはできない。日 本の側は植民地の民族文化の存在を否定しなかったからである。また、朝鮮人の 側は戦争協力の要請には積極的な態度を示したからである。にもかかわらず、日 本側の主張した、植民地の民族文化を日本語のみで表象すべきであるという要 請は、結果的には植民地文化の自律的発展を拒む文化帝国主義として機能してしまっ た。当然ながら、民族語による表現の権利を剥奪さらた文化は枯死 の運命に陥るかねないからである。1938年日本語演劇<春香伝>は、帝国による 植民地文化の再発見というより、それの消滅を知らすシグナルであった。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1938년 경성의 ‘춘향전 붐’
 Ⅱ. 표류하는 <춘향전>
 Ⅲ. 식민제국/식민지의 분할선과 두 개의 ‘모더니즘’
 Ⅳ. ‘관대한’ 제국의 역설
 Ⅴ. 나오며
 參考文獻
 일문초록

저자정보

  • 서동주 徐東周.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