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광고사진에서의 성적 표현(性的 表現) 규제에 관한 광고 제작자들의 주관적 태도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ubjective Attitude Study of Advertising Producers on Sexual Expression Regulations in the Advertising Photos - Application of Q Method -

김유철, 임채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exual expression in advertising has been employed widely for a long time and it obviously causedvarious controversies in many areas. People believe that the sexual expressions in advertisings attractbystanders’ attentions and make them have interest on the product. This belief is certainly established to advertising producers even more strongly. However, there are also many concerns for this such as; sexual objectification and pervert, despite recent extension of woman’s rights. This study, which is employing Q method, discovered that advertising producers’notion of sexual expressionsis varied discretely. This might derived from differences such as; producers’ gender, career, experiences and awareness of effect and regulations. Though producers’ recognition structures are categorized in to 4types in this study, they still commonly have at least negative perception of advertising photographs with sexual expressions. Scilicet, they have common indication for the necessities of regulations for exceedingly exposed visuals even they demonstrate public relations effect. Thus revenues when producers have guidelines on sexual expressions in advertisements, they will regulate the grade themselves.

한국어

광고에서 성적 표현(性的 表現)은 오래 전부터 다 양하고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많은 화제와 논 란을 불러일으킨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성적 표현 광고가 확실히 소비자들의 주의를 집중시키고, 상품 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며, 또한 구매를 자극한다고 믿는데, 특히 광고 제작자들의 성적 표현 광고에 대 한 신념과 믿음은 다른 사람들보다 훨씬 크다. 그러 나 한편으로는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최 근 들어 여성의 권위가 신장되고 생활환경이 나아짐 에도 불구하고 광고에서는 여전히 성을 상품화하고 성 역할을 왜곡한다는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다. Q방법론을 이용한 본 연구는 같은 광고 제작자라 할지라도 성적 표현 광고사진에 대한 주관적 인식구 조는 다르게 나타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아마 도 성별에 다른 차이, 혹은 광고 제작 경력이나 경험 그리고 성적 표현 광고사진의 효과인식이나 규제인식 등이 반영된 결과로 보여진다. 광고 제작자의 주관적 인식구조가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지만 유형간 유사 점을 발견한 항목들과 응답자 특성을 고려하면, 광고 제작자들도 과도한 성적 표현 광고 사진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 모 등이 보이거나 심한 노출 등에 대해서는 성적 표 현 광고사진이 비록 효과가 있다고 할지라도 규제를 해야 한다는 데에 대해서는 대부분 공통적인 입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성적 표현 광고사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주면 광고 제작자들은 그 가이드라인에 의해 성적 표현 광고사진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문제
  2.1. 광고사진의 표현
  2.2. 광고에서의 성적 표현에 대한 논의
  2.3. 광고에서 성적 표현의 유형
  2.4. 광고의 성적 표현에 대한 규제
 3. 주관성 탐구방법으로서의 Q방법론
  3.1. Q방법론의 철학적 배경
  3.2. Q방법론과 가설생성의 원리
 4. 분석결과
  4.1. 성적 표현에 관한 Q유형의 구분
  4.2. 성적 표현 광고사진에 관한 Q 유형별 특성
  4.3. 성적 표현에 관한 Q 유형별 공통점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유철 Kim, You Chel.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초빙객원교수
  • 임채형 Lim, Chae Hyung.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