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서부지역 통일신라시대 수혈주거지의 분류와 편년 -‘ㄱ’자형 구들시설을 中心으로-

원문정보

Classication and chronology on the Underground Residence of the Unied Shilla Era in the Middlewest Area

이상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in pardon department of hill mouth grudge ‘ㄱ’ -shaped floor heating installation in the pit dwellings of the Unified Shilla period. Based on the data that have been collected so far, this paper has found that the types classified in it slightly differ by their period of preservation.
Among them, ⅠA1, ⅠA3, and ⅠB3 show longer preservation than other types. And it is presumed that when the residences of the Unified Shilla period in the middle or western area built the goraebu, the method to dig the raw soil or use stone was mostly frequently utilized. Like this building method building method and part of the heating facility which is visible from three government policy righteousness house is similar and unifying Shilla periodic house price of land of the central east area which when is extending recently and the southeastern Korea area is reported, will be able to compare an area by dierence and a house aspect Among the methods to construct goraebu of the floor heating installation of the Unied Shilla period, type Ⅱ which builds a dwelling vertically to the contour is found only in Gyeonggi-do.

한국어

본고는 통일신라시대 수혈주거지 가운데 구릉의 사면부에 입지한 ‘ㄱ’자형 구들시설을 대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최근까지의 자료로 보는 한 본고에서 분류한 형식별로 존속시기가 약간씩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가운데 ⅠA1·ⅠA3·ⅠB3 형식이 다른 형식보다 존속기간이 길게 나타나며, 중서부지역의 통일신라시대 주거지에서 고래부를 조성할 때 생토면을 굴착하거나 석재를 활용하여 축조하는 방식이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축조방법은 삼국시대의 주거지에서 보이는 난방시설의 축조방식과 일부 유사하며, 최근 늘어나고 있는 중동부지역과 영남지역의 통일신라시대 주거지가 보고되면 지역별 차이점과 주거양상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구릉의 사면부에 입지하는 통일신라시대 주거지의 구들시설 가운데 Ⅱ형식의 고래부는 경기도지역에서만 확인된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구조와 명칭 재검토
 Ⅲ. 유적 개관
  1. 京畿道地域
  2. 忠淸南道地域
  3. 忠淸北道地域
 Ⅳ. 구들시설의 형식분류 및 편년
  1. 형식분류
  2. 편년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상복 Lee, Sang-bok. 중앙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