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is thesis, Gochang Basin has been set as a spatial analysis level.
The region has features of closed geographical condition, formation of concentrated dolmen group, and intensively concentrated pillar-formed dolmen distribution area, etc. Especially, There are large size dolmen groups such as Gochang Sanggap-ri, Juknim-ri dolmen group, Sanggeum-ri dolmen group, etc. This thesis used GIS spatial analysis method for understanding formation background of these groups. I selected central dolmen group and set the analysis region and evaluated suitability of settlement position in the region, available farmlands area ratio, etc.
It was possible to classify dolmen in Gochang basin according to scale of group, density, location of pillar formed dolmen distribution, etc. It was the reason of selecting central dolmen group that Gochang, Daesan, Hari dolmen group have highest class of distribution. As a result of analysis, central dolmen groups were distributed forming locally special sphere. This thesis reconstructed settlement spaces of construction of dolmen group using visible area analysis, cost-distance analysis, buffer analysis, administrative block information in dolmen group distribution area.
A settlement is a concept including all of not life space but also economic activity area for living and funeral-cemetery space in broad sense. In that sense, it is possible to set spatial scale of community using distribution information of dolmen group. Social economic conditions, such as suitability of community location and distribution scale of available farmlands, might affect as critical factors determining degree of development of constructing dolmen group scale and social complexity. It was used spatial condition analysis, such as slope, slope direction, altimeter, distance from water system, etc., for evaluating of suitability of settlement position. This thesis analysed cultivatable farmland area (race paddy, field) and ratio in central dolmen group area. In the result of evaluation, central dolmen groups occupied over 50 % of in most of total regional areas where are highest grade of distribution area in settlement position and area securing cultivatable farmland factors.
Central dolmen groups were distributed in regions where has suitable geographical conditions for human community and had social economic background which supported agricultural productivity of critical living economy when the dolmen had been constructed.
These central dolmen group distribution areas where have advantageous geographical, social economic conditions had aected on development of top ruling class through a process using and controlling limited natural resources and social integration. The construction of dolmen might had contributed on tools of sustaining economic and political authorities in class society.
한국어
고창분지 일대는 폐쇄적 지형조건을 지니고 있으며, 지석묘군 밀집분포양상, 주형지석묘 집중분포 등을 고려하여 하나의 공간적 분석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특히 고창분지 내에는 고창 상갑리·죽림리지석묘군, 상금리 지석묘군 등과 같은 대규모 군집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군집의 형성배경 이해를 위해 GIS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한 중심지 석묘군의 선정과 권역설정, 권역 내의 취락입지 적합성 및 가용농지 면적비 평가 등을 실시하였다.
고창분지 내 지석묘는 군집규모, 밀도, 주형지석묘의 분포위치 등에 따라 등급화가 가능하다. GIS를 활용한 등급화 분석을 통해 고창·대산·해리 지석묘군을 최상위 등급이 분포하는 중심지석묘군으로 선정하였다. 중심지석묘군의 분포권역은 가시권 분석과 비용-거리분석, 버퍼분석, 행정구역정보 등을 활용하여 지석묘 축조집단의 취락공간으로 복원가능하다. 이것은 취락은 넓은 의미에서 생활공간뿐만 아니라, 생업경제 활동영역과 매장의례공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지석묘군의 분포정보를 통해 취락의 공간적 범위설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중심지석묘 권역 내 취락 입지의 적합성과 가용농지 분포정도는 취락공간을 점유하고 있던 지석묘 축조집단의 규모 발달정도, 사회복합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취락입지 적합성 평가는 중심지석묘군 권역의 경사, 사면향, 고도, 수계와의 거리 등 지형조건을 평가하였으며, 가용농지는 논, 밭 등 경작 가능한 농지의 면적비를 분석하였다. 평가결과, 중심지석묘 군 전체 권역의 50% 이상 지역이 지형적으로 취락입지에 유리한 최상위 등급 분포지역이며, 가용농지 면적 또한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중심지석묘군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이 인간의 거주에 적합한 지형적 조건을 갖추고 있었으며, 생업경제적 측면에서도 유리한 사회경제적 배경을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유리한 지형적, 사회경제적 조건을 갖춘 중심지석묘군 분포지역은 한정된 자원의 이용과 통제, 사회통합 과정을 거쳐 수장층이 성장하게 된 배경으로 작용하였으며, 계층사회의 경제적·정치적 권한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지석묘를 축조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방법
Ⅲ. 연구지역의 공간적 범위와 지석묘 분포
Ⅳ. 고창분지 지석묘 분포패턴과 중심지석묘군 설정
1. 지석묘 분포패턴 분석
2. 중심지석묘군 선정
3. 중심지석묘군 권역설정
Ⅴ. 지석묘 분포패턴의 사회경제적 해석
1. 중심지석묘군의 취락입지 적합성 평가
2. 지석묘군 분포패턴의 사회경제적 배경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