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반도의 ‘아라야(荒屋)형 새기개’ 기초 연구

원문정보

A Basic Study on the Araya-type Burin in the Korean Peninsula

김은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Late Upper Paleolithic period, a pressure technique appeared, which shows development of tool making and a blade replacing technique when their blades of tools were blunt or damaged. That is, at that time, small amount of raw materials were used to eectively maintain blades of tools.
Microlithic and burin are representative remains of the Late Upper Paleolithic period, which was demonstrated in Araya Site of Japan. In particular, as it has been recognized that forms and techniques of Araya Site were distinctive, a formal name of ‘the Araya-type Burin was given to them.
There are reports that this Araya-type burin was excavated from Northeast Asian areas such as Siberia and China and its distribution range is vast. Also in Korea, the Araya-type burin was excavated. 41 pieces of artefacts from 8 Sites including Sangmuryongri, Yanggu were excavated.
They were distributed over the central and southern part of Korea. In particular, they were mainly found in places where obsidian main part was excavated. 41 pieces of Araya-type burin were mainly made of obsidian, shale and others(hornfels, rhyolite and Cmu) and are roughly categorized into obsidian-type and rhyolite-type. It indicates that obsidian cluster of stone artefacts was excavated from Araya-type burin and they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Meanwhile, to closely examine the artefacts, microlithic-related stone artefacts were excavated from all the sites, which is an evidence that burin and microlithic were used in the same period and place.
In particular, Araya-type burin is characteristics by its unique technique. It is composed of three stages of making blank, retouching platform and blade making. When the tools were blunt or damaged, the replacement process repeated, which shows that the process was a distinctive method to use tools with the economic concept of the Late Upper Paleolithic period.

한국어

후기구석기시대 후반은, 도구 제작에 있어서는 기술의 발전상을 보여주는 ‘눌러떼기기법’이 발현되었고, 도구 사용에 있어서는 날이 무디어지거나 훼손되면 다시 갈아끼움으로써 마치 요즘의 컷터칼처럼 날을 되살릴 수 있는(날의 재생) 도구 활용 방법이 빛을 발하던 시기이다. 곧, 적은 양의 재료(돌감)를 투자하면서 효율적으로 도구의 날을 유지시켜갈 수 있는 경제적 감각을 기반으로 운용되던 시기였던 것이다.
후기구석기시대 후반을 대표하던 유물의 양 축은 좀돌날석기와 새기개임이 일본열도의 아라야유적에서 확실히 입증되었다. 특히 아라야유적에서는 형태와 제작 기법에 있어 독특함이 인정되면서 1,000여 점이 넘게 출토되어, ‘아라야형 새기개(荒屋型彫器)’라는 형식명이 설정되었다. 이 아라야형 새기개는 시베리아, 중국 등 동북아시아 전역에 걸쳐 출토예가 보고되어 있어 그 분포 범위는 굉장히 넓은 반면, 출토되는 양은 매우 적다. 한반도에서도 아라야형 새기개가 출토되었는데, 양구 상무룡리유적을 비롯한 8개 유적에서 41점의 유물이 확인되었을 뿐이다.
한반도에서 아라야형 새기개의 분포는 어느 한 지역에 집중적이기보다 는 한반도 중․남부 전역에 걸쳐 두루 분포하고 있었다. 그리고, 특히 유적 안에서 흑요석제 석기집중부가 드러났던 곳에서 그 출토 빈도가 높았다. 또, 41점의 아라야형 새기개는 흑요석, 셰일, 기타(혼펠스, 유문암, 니암) 돌감이 주로 이용되었는데, 크게 나눈다면 흑요석과 유문암계로 양분할 수 있다. 이는 곧 아라야형 새기개 출토 유적에서는 흑요석 석기집중부가 드러났다는 점과도 맥을 같이하고 있어, 아라야형 새기개와 흑요석이 무엇인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강하게 드러내 보이고 있다.
한편, 이들 유적들의 유물갖춤새를 보면, 모든 유적에서 좀돌날석기 관련 유물들이 함께 나오고 있어, 새기개와 좀돌날석기가 같은 시기, 같은 작업장에서 이용되었음을 보여주는 분명한 자료이다.
특히, 아라야형 새기개의 특징은 그 제작 기법에서 돋보이는데, 기본 제작공정은 몸체 다듬기-때림면 만들기-새기개 날 만들기의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후 날이 무디어지거나 훼손되면 새기개 날 되살리기(재생) 공정이 되풀이되며, 이러한 재생 공정은 후기구석기시대 후반의 경제 감각이 깃든 독특한 도구 활용 방법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아라야(荒屋)유적과 아라야형 새기개
  1. 아라야(荒屋)유적
  2. 荒屋(아라야)형 새기개의 개념과 정의
  3. 荒屋(아라야)유적의 쓴자국 관찰
 Ⅲ. 한반도 출토 荒屋(아라야)형 새기개
  1. 출토 유적
  2. 비교 검토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은정 Eun-jeong, Kim. 메이지대학 대학원 박사후기과정 3년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