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연재해인가 정책실패인가? : 북한의 문화생태 현실과 구조

원문정보

Between Natural Disaster and Policy Failure : Current State and Structure of Cultural Ecology in North Korea

김병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al ecology in North Korea emerged as a serious national problem since the mid-1990s, and based upon the evaluation of its causes and structural aspects, to attempt to suggest possible alternatives for realizing the green Korean peninsula. The overall states of cultural ecology in North Korea has been deteriorated, since the large-scale starvation in mid-1990s and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after that had not been improved at all. The reason that such a poor cultural ecological situation does not improve, is not only because of the mere natural disasters or the failure of agricultural policies, but because of the cultural ecological cycle in which policy, cultural and ecological factors are interrelated. In this respect, the cultural ecology in North Korea is getting trapped in vicious circle within the complex structure of policies and institutions, cultural practices, and ecological environment due to climate change. Therefore, the solution to the problematic cultural ecology in North Korea is required to build a multi-faceted cooperation and assistance, starting from providing technical support to enhance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forest restoration and afforestation projects as an alternative energy, North Korean authorities also recognize these problems, so that they actively promote the advancement in cultur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attempt to develop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for the promo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ecological environment. There is, however, a serious limitation in improving the cultural ecological situation by resorting to only to internal resource mobilization, but it should rather promote international cooperation among South Korean government and the civil society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under the vision of realizing green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한국어

이 논문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심각한 문제로 부상한 북한의 문화생태적 상황을 살펴보고 그 원인과 구조를 분석하며 전망적 대안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규모 기아사망과 그 이후 반복되는 굶주림의 실태, 그리고 생태환경 파괴 등 북한의 전반적인 문화생태 현실은 매우 심각하다. 이처럼 열악한 문화생태 상황이 개선되지 않는 이유는 그것이 단순한 자연재해나 농업정책의 실패 때문만이 아니라, 정책과 제도, 문화의 요인들이 생태파 괴와 기후변화 및 재난으로 확대되는 보다 광범 위한 문화생태 싸이클에 기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북한 문화생태의 문제는 정책 과 제도, 문화와 관행, 생태환경과 기후변화의 복합구조 속에서 악순환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의 이러한 문화생태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산림복구 지원과 조림사업 등 생태환경의 개선을 시작으로 하여 벌목을 방지 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 제공, 농업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지원 등 다각적 협력과 도움이 필요하다. 북한당국도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환경정책과 문화 및 제도의 개선, 그리고 농업생산 및 생태환경 증진을 위한 과학기술과 정 보기술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 내부의 자원동원이나 법제도만으로는 북한 문화생태 상황을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녹색한반도의 비전하에 남한정부와 시민사회 및 국제사회가 녹색평화 프로젝트로 함께 추진 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문제제기
 Ⅱ. 북한의 문화생태 현황
 Ⅲ. 북한 문화생태의 복합구조와 순환 싸이클
 Ⅳ. 북한의 환경정책과 제도, 그리고 정보
 Ⅴ. 북한의 문화생태 복원과 한반도 녹색평화의 전망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병로 Philo Kim.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