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榮山江流域 墳丘墓의 高塚化 過程硏究

원문정보

Developmental Processes of Mound Burials in the Yeongsan River Valley

영산강유역 분구묘의 고총화 과정연구

金炫禎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revious studies of the burials, including related culture have focused on explanations of social-cultural developmental stages and identity of the buried based on the study of jar burial and stone chamber tombs. However,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the developmental processes of mound burials in the period when platform shaped burials with ditches, jar burials, and stone chamber tombs had been constructed one after another in the region.
As a preliminary step, relative dating of burials in the region is carried out based on attributes such as mound shape, main burial facility, and artifact.
According to the relative dating, five phases are identified to the critical changes of the attributes. In the first phase, graves adopted square, trapezoidal, and long trapezoidal shaped plan, and a main burial facility was a pit burial withoutexception. In the second phase, square shaped plan disappeared, and rectangularand round shaped mounds appeared. The third phase was characterized by increase of the mound size. Large mounds higher than 5m with round or square shaped plan emerged and a main burial facility was replaced by a jar coffin manufactured only for a coffin. In the fourth phase, the size of burial mound was decreased, and a keyhole shaped mound appeared. In this phase, jar coffin as a main burial facility was replaced by “Yeongsan River Type” stone chamber. In the last and fifth phase, the “Yeongsan River Type” stone chamber" was replaced by “Baekje Type” stone chamber. In this phase, burial mound was decreased or washed away in the result of disappearance of tradition of the mound burials placing the main burial facility in the burial mound prepared on the ground surface.
In conclusion, a burial with a high mound appeared in the third phase when there was critical change in the height of burial mound, and the burial is considered to be accompanied by emergence of unparalleled powerful political authority represented by prestige goods such asgilt-bronze wns and shoes, and loop-handled swords.

한국어

榮山江流域 고분 문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옹관의 매장주체부와 석실분을 통해 사회의 발전 단계와, 구성원의 성격규명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주구묘에서 옹관고분을 거쳐 석실분이 만들어지는 동안 이 지역 분구묘가 고총화 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분구형태와, 매장주체부, 유물 등을 속성으로 하여 이 지역 고분들을 상대 순서배열 하였다. 상대순서배열한 유구들을 그 속성들이 크게 변화하는 시점을 통해 모두 다섯 개의 분기로 나눌 수 있었다.
Ⅰ기는 방형, 장제형, 제형 주구로 무덤의 평면이 구획된 시기로 매장주체부로 토광묘만이 사용된 시기이다. Ⅱ기는 방형주구는 사라지고 장제형과 제형주구가 지속되는 가운데 장방형과 원형분구가 출현하는 시기이다. 이렇게 다양해진 평면형태와 더불어 성토된 분구가 뚜렷이 관찰되는 시기이다. Ⅲ기는 분구의 고대화를 가장 큰 특징으로 하는 시기이다. 원형과, 방형 평면 형태에 높이 5m 이상의 고대분구가 만들어진다. 매장주체부도 매장용으로 제작된 전용 옹관이 사용된 옹관고분 성행기이다. Ⅳ기는 매장주체부의 중첩이 사라져 분구의 규모가 작아지며, 전방후원형 분구가 출현하는 시기이다. 매장주체부의 사용에 있어 옹관은 사라지고 “영산강식석실”이 사용되는 시기이다. Ⅴ기는 앞 시기의 “영산강식석실”이 사라지고 “백제식석실”이 대두되는 시기이다. 지상분구에 매장주체부가 놓이는 분구묘의 전통이 단절되어 봉토가 작아지거나 유실되어 버린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논문은 이렇게 다섯으로 나뉘어진 분기 중 분구 높이에 있어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Ⅲ기를 이 지역에 고총이 출현하는 시점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이렇게 고총이 출현하는 배경을 이 지역에 이전시기와 구별되는 정치권력이 생성된 것으로 인식하였고, 금동관과, 금동신발, 환두대도 등의 유물상을 통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榮山江流域의 墳丘墓
  1 榮山江流域 墳丘墓의 墳形
  2. 榮山江流域 墳丘墓의 埋葬主體部
 Ⅲ. 榮山江流域 墳丘墓의 分期
 Ⅳ. 榮山江流域 墳丘墓의 高塚化 過程
  1. Ⅰ기
  2. Ⅱ기
  3. Ⅲ기
  4. Ⅳ기
  5. Ⅴ기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金炫禎 김현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