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松菊里遺蹟 54地區 住居址에 關한 檢討

원문정보

A Review of Semi-subterranean Houses at the District No. 54, Songgung-ri Site

송국리유적 54지구 주거지에 관한 검토

玄大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discovery of a famous stone cist yielding a Liaoning type bronze daggerin 1974, the Songgung-ri site, representing Late Bronze Age in Korea, has yielded houses, stone cists, jar burials, wooden palisade facilities along with characteristic artifact assemblage through more than ten field campaigns.
Archaeological data from this site come to establish a distinctive culturalpattern, so-called ‘Songgung-ri Type or Pattern’. In particular, tens of semi-subterranean houses with round, square, and rectangular floor plan have been unearthed, and there have been a number of archaeologicalresearches focused on typology and chronology of houses with different floor plans. While some consider that these houses had been constructed and occupied simultaneously, others consider that they had been constructed and occupied at different time periods.
According to detailed analysis of archaeological data from district No. 54 focusing on house structure and artifacts, including shapes of pottery and composition of lithic tools, houses with different floor plans had appeared one after another in the result of influx of population and/or emergence of new population. In particular, considering structure and shape of the houses, House No. 23, a large house with rectangular floor plan, seems to be ahead of a stage of Heunam-ri. Based on house shapes and artifacts fromthe houses, houses constructed after the House No. 23 seems to have been constructed and occupied in the sequence of houses with square floor plan, those with rectangular(A type) and round, and those with rectangular(B type).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similarities in the artifacts among houses with different floor plans, and these similarities seems to reflect that occupational period of houses with each floor plan was not long enough and that there had been conflicts between preexisting population and incoming population and among preexisting populations resulted from emergence of new populations.

한국어

송국리유적은 한반도 청동기시대 후기를 대표하는 유적으로 1974년 석관묘가 발굴조사된 이후 수차례의 발굴을 통해 송국리형주거지의 확인과 송국리유형이라는 문화체계를 확립하였다. 송국리유적에서는 환호·목책과 함께 원형과 (장)방형주거지가 조사되었다. 현재까지 54지구의 원형주거지와 (장)방형주거지의 관계에 대한 연구성과를 살펴보면 원형과 (장)방형주거지를 동시기에 조성되고 영위된 것으로 보는 관점과 순차적으로 조성된 유구로 보고 있다.
54지구 주거지의 형태적 측면이나 출토유물, 특히 토기의 형태나 석기의 조합상에 있어서의
차이를 감안하면 동시기성을 가진 취락으로 보기보다는 순차적으로 세력집단의 유입과 새로운 집단의 등장으로 인한 취락의 점진적 변화로 보아야 할 것이다.
우선 주거지의 형태적 측면을 고려하면 장방형의 대형에 해당되는 23호 주거지는 최소 휴암리유형 이전의 단계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이며, 이후에 조성된 주거지 유형으로는 주거지 형태와 출토유물을 참고하면 방형주거지→장방형A형 주거지·원형주거지→장방형B형주거지 순으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방형주거지의 경우 토기형식에 있어서는 Ⅰ~Ⅲ형식까지 모두 확인이 되고 있으며, 석기의 경우 주형석도와 교인이 아닌 삼각형석도, 전기에 발생한 석검의 양식인 단경식석검 등이 출토되고 있다. 장방형A형 주거지에서는 Ⅱ·Ⅲ형식의 옹형토기류·완형토기, 교인이 아닌 삼각형석도가 교인의 삼각형석도와 공반되고 있으며, 장주형석도 등이 출토되고 있어 형식분류상 방형주거지보다 늦은 시기로 보인다. 장방형B형 주거지의 경우 Ⅱ·Ⅲ형식의 옹형토기가 출토되며, 교인의 삼각형석도, 유구석부가 출토되고 있어 54지구 (장)방형주거지의 서열에 있어서 가장 늦은 단계로 보고자 한다. 원형주거지는 Ⅱ·Ⅲ형의 옹형토기와 발형토기, 완형토기 등이 출토되고 있어 형식분류상 장방형B형 주거지보다는 이른 시기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주거지 형식 간 출토유물상의 유사점이 많이 확인되고 있다. 이는 각 주거지 유형별로 송국리유적 내에서의 점유기간이 길지 못했으며, 재지세력과 유입세력간의 대립, 신세력의 등장에서 기인한 재지세력간의 갈등 등 급격한 시대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松菊里遺蹟 54地區 住居址 檢討
  1. 圓形住居址
  2. (長)方形住居址
 Ⅲ. 出土遺物의 檢討
  1. 土器類
  2. 石器類
 Ⅳ. 松菊里遺蹟의 住居址 築造順序에 關한 檢討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玄大煥 현대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