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묻지마 범죄담론의 사회적 구성과 영향 : 묻지마 범죄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적 접근

원문정보

Social Construction and Influence of “Don’t-Ask-Me” Crime Discourse : Alternative Perspectives on Motiveless Crime

정연대, 이윤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don’t-ask-me” crime(random violence), which refers to expressive violence toward strangers without any specific motives, becam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 However, due to difficulty in defining this kind of crime in academic or practical way, preceding researches are not active enough and their discussion has somewhat limitation. Preceding domestic researches tried to redefine “don’t-ask-me” crime as motiveless crime, crime with abnormal motives, or random crime in order to overcome the it’s conceptual imperfection. And, they tried to categorize and examine the seriousness of those crime. They also suggested some countermeasures to solve and prevent those problem on the basis of causality analysis on phenomenal random or motiveless crime. Nevertheless, those kinds of approach to “don’t-ask-me” crime put too much attention to offenders and their psychological abnormality, resulting in lack of consideration on meaning and influence of “don’t-ask-me” crime discourse which is socially constructed. This research adopts alternative perspectives of constructionism and post-modernism to explain “don’t-ask-me” crime. The author asserted that through the alternative explanation on characteristics, construction, and influence of “don’t-ask-me” crime discourse, researchers will get some insight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approach and find a way to practical and effective solution to the crime problem.

한국어

자신과 상관없는 타인을 대상으로 별다른 이유 없이 표출적 폭력을 휘두르는 묻지마 범죄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범죄는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개념이 명확히 정의되기 어려운 까닭에 국내 선행연구가 부족하고 논의의 한계를 가진다. 기존 국내 연구는 묻지마 범죄의 개념적 불완전성을 극복하기 위해 이를 무동기 범죄, 이상동기 범죄, 무차별 범죄 등으로 재개념화하고, 사례와 간접통계 위주의 접근을 통해 유형화와 실태파악을 시도하였다. 또한 실태파악에 근거한 범죄의 원인과 대응방법을 통해 묻지마 범죄의 해결과 예방을 위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사회문제로서의 묻지마 범죄의 이상성에 초점을 둔 연구들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묻지마 범죄 담론의 의미와 그 영향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며, 범죄문제에 대한 실질적 해결로 나아가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묻지마 범죄를 설명하기 위해 전통적 범죄학의 대안으로서 제시되고 있는 구성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을 차용하였다. 묻지마 범죄담론의 특징, 형성, 영향에 대한 대안적 설명을 통해 기존 묻지마 범죄의 프레임을 극복하고 실질적인 범죄해결로 나아갈 수 있다고 주장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묻지마 범죄에 대한 이론적 논의
 Ⅲ. 묻지마 범죄에 대한 기존 접근의 한계
 Ⅳ. 새로운 접근으로서 묻지마 범죄의 담론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연대 Jung. Yeon Dae. 동국대학교 대학원 경찰행정학과 박사과정.
  • 이윤호 Lee. Yoon Ho. 동국대학교-서울 경찰행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