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survey instrument to measure for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TPACK)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evaluate the scale’s construct validity.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correlational analysis were performed for construct validity with 307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 final version of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TPACK) scale consisted of five factor solution[TK(technology knowledge); PK(pedagogy knowledge); CK(content knowledge); TPK(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 TCK(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 and 31 item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hierarchical model was appropriate model. It was found that TK(technology knowledge) and PK(pedagogy knowledge) were weakly associated with CK(content knowledge). This study was discussed to make effective instruction and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s’ professionalism.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학적지식(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TPACK)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예비검사와 본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적으로 5요인[테크놀로지지식(Technology Knowledge: TK), 내용지식(Content Knowledge: CK), 교수학적지식(Pedagogical Knowledge: PK), 테크놀로지교수학적지식(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 : TPK), 테크놀로지 내용지식(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 TCK)], 31문항으로 구성된 테크놀로지 내용교수학적 지식 척도를 개발하였다. 둘째, 선정된 최종문항의 내적 합치도는 5개 하위영역이 .84~.85의 범위를 나타내 신뢰로운 검사임이 확인되었으며, 각 요인간의 상관정도도 적절하였다. 셋째, 공분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테크놀로지 내용교수학적지식이 5가지 요인을 설명하는 위계적인 모형이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초등교사들이 테크놀로지 내용교수학적 지식 척도를 통해 수업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예비검사 문항개발
2. 연구대상
3. 측정도구
4. 자료수집
5. 자료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기초통계량
2. 요인탐색결과
3. 구성요인들 간의 상관 및 신뢰도
4. TPACK 최종 척도의 요인구조 검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