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일제강점기 경주지역 불교유적조사와 경주고적보존회의 '慶州古蹟及遺物調書'

원문정보

Researches on Buddhist Sites in Gyeongj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 Report on Archaeological Sites and Artifacts in Gyeongju”

일제강점기 경주지역 불교유적조사와 경주고적보존회의 '경주고적급유물조서'

김동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searches on Buddhist Sites in Gyeongj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 Report on Archaeological Sites and Artifacts in Gyeongju” Kim Dongha This study focuses on how researches on the Buddhist archaeological sites in the Gyeongju area took pla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archaeological researches began to be carried out by the Japanese scholars sponsored by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y. The early phase of the research activities was largely focused on surveying the existing situations surrounding the sites and artifacts, but gradually expanded to excavations and even restoration of ruined pagodas. , a private research organization representing the local academic arena played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in conducting researches and publicizing research results for the general public. The main discussion of this study deals with research activities conducted by two Japanese historians, Moroga Hideo and Osaka Kintaro, who were key figures in the . The main part of this study includes a detailed review of ‘A Report on Archaeological Sites and Artifacts in Gyeongju’ collected by the Gyeongju Heritage Sites Preservation Society and a discussion about its value as a historical record. Compiled in 1931 by the members of the Society including Osaka Kintaro, this report should be deemed as a very important source of knowledge regarding the survey of Buddhist heritage sites in the Gyeongju area. Remarkably, no other materials focusing on the same subject have been able to produce such a detailed, systematic data in which archaeological sites and artifacts in Gyeongju-gun are classified into eight groups according to its eight administrative divisions. In addition, the report can be used profitably among those seeking to enhance their knowledge about individual sites of the period because it contains extremely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ites, their location, ownership, current situation, map, survey photographs, and history recorded in ‘Samguk sagi’, ‘Samguk yusa’ , and ‘Donggyeong japgi’. The author of this report Osaka Kintaro was active in giving names to the temple sites in Gyeongju and the neighboring area, an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most names of the temple sites in the Gyeongju area are based on the results of his researches. A considerable number of such names can be found in this report. Therefore, a closer review of this report would reveal the names and locations of many temples which have lost them. Finally,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that add additional value to this report as a historical material is that it contains photographs of some heritage sites which have disappeared. As an example, the report contains photographs and a map of Sarigak of Girimsa Temple, thus helping researchers gain knowledge how this temple building so far unknown looked like and where it stood. More studies of the report are expected to be greatly helpful in the researches of many archaeological sites in the Gyeongju area.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일제강점기 경주지역의 고적조사 중 불교유적조사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당시 불교유적조사는 일본인 관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유적ㆍ유물의 현황파악에서 시작되었지만, 이후 점차 발굴조사 및 폐탑의 복원까지 그 조사범위가 확대되어 갔다. 한편 <慶州古蹟保存會>는 일제강점기 경주지역에 대표하는 민간단체로서 문화재를 조사하고, 대내ㆍ외에 소개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본고에서는 경주지역 고적조사에 앞장섰던 <경주고적보존회>의 활동을 비롯하여, 당시 경주고적보존회의 중심인물이었던 모로가 히데오(諸鹿央雄)와 오사카 긴타로(大坂金太郞)의 유적조사 활동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특히 재단법인 경주고적보존회에 보관되어 있던 『慶州古蹟及遺物調書』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그 사료적 가치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1931년경 오사카 긴타로 등 <경주고적보존회> 회원들에 의해 작성된 이 조사서는 경주지역의 고적조사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 조사서는 경주군을 8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누어 해당 구역 내에 분포하는 유적ㆍ유물을 구체적으로 정리한 자료이다. 뿐만 아니라, 이 조사서에는 『三國史記』, 『三國遺事』, 『東京雜記』 등에 수록된 연혁, 유적의 위치, 소유자, 현황, 관련유적의 약도, 현지조사 사진 등 유적과 관련된 매우 상세한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당시 개별 유적을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한편 이 조사서를 작성한 오사카 긴타로는 일제강점기 경주지역 寺址 명칭비정에 있어 매우 적극적인 인물이었다. 현재 경주지역 대부분의 (廢)寺址 명칭이 그의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비정되었다. 이 조사서 내용 중에도 이러한 명칭 비정과 관련된 내용이 상당수 확인된다. 따라서 앞으로 이 조사서를 상세하게 검토하여 경주지역에 분포하는 일명사지(이름이 잃어버린 절터)들의 명칭과 혹은 그 위치를 파악하는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이 조사서의 사료적 가치 중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조사서에 수록된 사진을 통해 현재 소실되고 살아진 유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 내용 중에도 언급한 기림사 舍利閣은 현재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은 殿閣이었다. 하지만 이 보고서에 수록된 사진과 약도를 통해 그 전각의 모습과 대략적인 위치를 짐작할 수 있게 되어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다. 앞으로 계속해서 『慶州古蹟及遺物調書』에 대한 세부적인 검토와 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경주지역 고적조사연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일제강점기 경주지역의 불교유적조사
 Ⅲ. 일제강점기 경주고적보존회의 활동
  1. 경주고적보존회의 창립과 주요사업
  2. 모로가 히데오(諸鹿央雄)와 오사카 긴타로(大坂金太郞)
  3. 경주고적보존회의 『慶州古蹟及遺物調書』
 Ⅳ. 『慶州古蹟及遺物調書』의 사료적 가치와 의의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동하 Kim Dongha.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