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17세기 화승 哲玄作 十王圖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en kings of Hell” by a Monk Painter Cheolhyeon in the 17th Century

17세기 화승 철현작 십왕도 연구

김윤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monk painter Cheolhyeon(哲玄) in the 17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is known to have participated in painting the Amrta painting(甘露王圖) of Uhak Cultural Foundation in 1681 and painted “The fifth king of hell(第5閻羅大王圖)” of the Korean Buddhist Art Museum. Recently “The first king of hell(第1秦廣大王圖)” and “The second king of hell(第2初江大王圖)” of Pusan Dong-A University Museum and “The sixth king of hell(第6變成大王圖)” of Incheon Songam Museum and “The ninth king of hell(第9都市大王圖)” of Jinju Chongrim temple which are a set with “The fifth king of hell”, were additionally identified, which prompts the discussions on “Ten king of Hell” painted by Cheolhyeon. According to the writing in Chinese ink on the Buddhist Tablet in Wooljin Bulyeong temple, Cheolhyeon, a monk of Pohang Oeo temple, interacted with the monk painters in Gyeongsang area. The basic composition of “Ten Kings of Hell” painted by Cheolhyeon is the same with that of “Ten Kings of Hell” in the Joseon Dynasty. However, its composition is more systematic than “Ten Kings of Hel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its composition and icons are close to “Ten Kings of Hell”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en Kings of Hell”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dependents and hells on the low part regularly appeared and the same icons were used and transformed. “Ten kings of Hel”l of Okcheon temple painted in 1744 inherited the icons and composition of “Ten kings of Hell” painted by Cheolhyeon first and a number of “Ten kings of Hell” of a similar type have been identified. However “Ten kings of Hell” painted by Cheolhyeon lacks a spatial sense and an understanding of icons, which indicates it is likely that the icons of popular Ten kings of Hell”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not created by Cheolhyeon. However it is more likely to be close to the times when the icons of “Ten kings of Hell”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garding the expressional technique, “Ten Kings of Hell” painted by Cheolhyeon follows the expressional techniqu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its pattern are in compliance with the patterns that were widely used in the 17th century, yet have not been used since the 18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cons and composition of “Ten Kings of Hell” painted by Cheolhyeon continued to be used for “Ten kings of Hell” even after the 18th century, whereas its expressional technique became a trend and developed after the 18th century. “Ten Kings of Hell” painted by Cheolhyeon is the first example of “Ten kings of Hell” painting that has passed down through the 18 century to the 19th century. Through the flow of the icons of “Ten Kings of Hell” painted by Cheolhyeon, the representative icons have been transformed and new icons have been added rather than have been disconnected and developed for distribution.

한국어

철현은 조선시대 17세기 말 화승으로 기존에 1681년 우학문화재단 소장 <감로왕도> 조성에 수화승으로 참여하고, 한국불교미술박물관 소장 <제5염라대왕도>를 단독으로 조성하였다는 사실만이 알려져 왔다. 이와 관련하여 부산 동아대학교박물관에는 <제1진광대왕도>와 <제2초강대왕도>, 인천 송암미술관에 <제6변성대왕도>, 그리고 진주 총림선원에 <제9도시대왕도>가 한국불교미술박물관 소장 <제5염라대왕도>와 한 조를 이루는 작품이 4폭 추가로 확인되어 철현작 <시왕도>의 특징을 논의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화승 철현이 1678년 조성한 울진 불영사 불패의 배면 묵서에 따르면, 철현은 포항 오어사의 승려로 양산 통도사의 스님 靈玄, 卓眞과 불영사에 유랑을 왔다가 불영사 주지와 뜻이 맞아 불패를 조성하였다고 한다. 함께 온 영현과 탁진은 1681년 <감로왕도> 조성에도 함께 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을 통해 철현은 포항 오어사 출신의 화승으로 경상도지역 화승들과 교유하며 작업한 것으로 추정된다. 철현작 <시왕도>의 기본구성은 화면의 상단과 하단을 채색한 구름으로 경계를 짓고, 화면 상단에는 시왕과 권속을, 하단에는 지옥장면을 묘사하여 일반적인 조선시대 시왕도와 동일하다. 그러나 조선 전기 시왕도보다 화면 구성이 한층 더 체계적이다. 조선 전기 시왕도는 권속 및 등장 장면의 도상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전승되는 데에 비해 철현작 <시왕도>는 화면 구성이 체계적이고 일정한 도상이 동일하게 전승되는 조선 후기 시왕도에 가깝다. 조선 후기 시왕도는 등장권속 및 하단 지옥장면이 규칙적으로 등장하며, 도상표현 역시 동일한 도상이 활용되고 변용되어가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철현작 <시왕도>의 도상과 화면구성을 전승한 가장 이른 예는 1744년작 <옥천사 시왕도>이다. 이후 조선 후기 시왕도 중 철현작 <시왕도>와 화폭 구성방식이 다르고, 제작지역이 다르며, 제작년대의 격차가 있어도 철현작 <시왕도>의 도상 및 화면 구성을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전승한 시왕도가 다수 확인된다. 그러나 철현작 <시왕도>는 일부 공간감이 다소 떨어지고 도상의 이해도가 부족한 부분이 있어 조선 후기 널리 유행한 시왕도의 도상을 철현이 창출한 것은 아닐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조선 후기 시왕도 도상의 성립시기에 비교적 가까운 작품으로 추정된다. 반면 표현상에 있어서 철현작 <시왕도>는 조선 전기의 안면홍조나 삼백법 등의 기법을 따르고, 문양은 18세기 이후 나타나지 않는 17세기에 널리 시연되었던 문양을 사용하였다. 이처럼 철현작 <시왕도>의 도상 및 화면 구성상의 특징은 18세기 이후 시왕도에 지속적으로 사용된 반면, 화면 표현방식은 18세기 이후 새로운 유행으로 대체되어 전개된다. 이는 양식적 특징은 시대 유행에 빠르게 변화하기 쉽기 때문이 아닐까 추정된다. 조선 후기 시왕도 연구에 있어 철현작 <시왕도>는 18세기에 이어 19세기까지 널리 전승되어 온 조선 후기 시왕도의 한 유형 중 가장 이른 예로서, 철현작 <시왕도> 도상의 흐름을 통해 조선 후기 시왕도의 도상이 지역간, 세대간에 단절되어 유통되거나 발전한 것이 아니라 대표적인 도상이 변용되고 새로운 도상이 추가되면서 유통되었음을 알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哲玄作 시왕도의 화연구성
  1. 동아대학교박물관 소장 <제1진광대왕도> (도 1)
  2. 동아대학교박물관 소장 <제2초강대왕도> (도 2)
  3. 한국불교미술박물관 소장 <제5염라대왕도>(도 3)
  4. 송암미술관 소장 <제6변성대왕도> (도 4)
  5. 진주 총림사 소장 <제9도시대왕도> (도 5)
 Ⅲ. 화승 哲玄의 출신 배경
 Ⅳ. 철현작 시왕도의 특징
  1. 도상과 화면 구성상의 특징
  2. 존상 표현과 시문양식의 특징
 Ⅴ. 철현작 시왕도의 의의
 Ⅵ.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윤희 Kim Yunhee. 문화재청 궁능문화재과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