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여말선초의 금동불감 연구- 순천 송광사 高峰國師 불감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gilt bronze Buddhist shrine during from late Goryo to early Joseon period - focused on the golden shrine of King’s advisor Gobong at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city

여말선초의 금동불감 연구- 순천 송광사 고봉국사 불감을 중심으로

정은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Buddhist shrine is a shrine for a Buddhist statue, which was built form Goryo dynasty. There are various different kinds of Buddhist shrines, from handheld small one, sized 5cm, with a fire protecting human from evil to large one with Buddhist sculpture sized 10~20cm inside shrines. Although material is various such as gilt bronze, silver and wood, gilt bronze Buddhist shrine was only shown at early Joseon period. According to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city, the golden Buddhist shrine known as worship Buddha of King’s advisor Gobong (高峰國師 ; 1350-1428) is a small one sized 25.3cm. The shrine showed uncommon peculiarities such as no Buddhist sculpture inside compared to other general ones, jewel decoration on the upper front side with precious stone as turquoise and crystal, and Buddha stature carved on the separate gilt bronze plate to enshrine inside shrine. Main Buddha statue was casted on the golden silver plate, and showed peculiar form as following. Buddha statue assumed Three Buddha sculptures with Vairochana, Amitabha and Maitreya were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and Attandance Bodhisattvas with Manjusri, Samantabhadra, Ananda and Kasyapa were located on the lower part. Also there were Vajrapani, Avalokitesvara, Ksitigarbha were stood in front of or back side of door (openning and shutting). Three Buddha sculptures are similar to xylography book of Diamond Sutra painting built in 1363, and compared to Three Buddha sculptures on 1st floor body of 10th floor stone tower at Gyungchunsa and Three Buddha sculptures(三世佛會) of Wongaksa temple. It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that the background of appearance altogether with Samantabhadra and Manjusri, Avalokitesvara and Kisitigarvawere the same as that of Buddhist poet(偈頌) of portraitist Naong It is understood that gilt bronze was derived from the idea background combined with a Avatamsake theory(華嚴敎學) linked from King’s advisor Naong to portraitist Gobong and a prayer to Buddha. It is also special that different material was used depending on Buddha statues. It also demonstrated meaning of Buddhist religion that Three Buddha sculptures of main body in Buddhist shrine and Attandance Bodhisattvas symbolized eternity of Buddha by using gold and silver, and Vajrapani symbolized dignity difference by copper. It is assumed that the manufacturing period was in early Joseon dynasty corresponding to end life of King’s advisor Gobong, which was calculated by the analysis of iconography peculiarities such as Avalokitesvara, Ksitigarbha put on a hood, Three Buddha sculptures and Manjusri, Samantabhadra and the careful review of pattern of spawn. A royal palace typed gilt bronze Buddhist shrine was manufactured in Goryo dynasty and became modelling with decorative design of Goryo style. As shown in gilt bronze Buddhist shrine of portraitist Naong belonging to Chuneunsa temple, the enshrined inner Buddha statue was fixed by lockup device. Also Buddhist painting in the background(後佛幀) and Buddha statue were enshrined inside which was reminded of Buddhist temple and understandably designed to pray by monks as they moved.

한국어

불감이란 불상을 안치한 감실로서 고려시대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불감의 종류는 매우 많아 호신불을 넣어 가지고 다니는 5cm정도의 작은 불감에서부터 10-20cm 정도의 불상들을 넣어 봉안하는 비교적 큰 규모의 불감 까지 다양하다. 재료는 금동제부터, 은제, 나무 등 다양하지만 금동제 불감은 고려부터 조선초기에만 등장하는 시기성을 보인다. 순천 송광사에 전하는 고봉국사(1350-1428년) 원불로 알려진 금동불감은 높이 25.3cm로 비교적 작은 크기다. 일반적인 불감과 달리 내부에 따로 불상을 안치하지 않은 점과 불감 상부 전면을 터키석과 수정 등 보석으로 장식한 점 그리고 내부에 별도의 금동판에 불상을 조각하여 봉안한 점 등에서 매우 이레적인 형식을 보인다. 주존불은 금은판에 타출로 부조하였는데 비로자나, 아미타, 미륵의 삼세불로 추정되는 불상을 상단부에 배치하고 그 협시인 문수와 보현, 아난과 가섭은 그 밑에 두었으며, 여닫이문의 앞과 뒤에는 각각 금강역사와 관음, 지장보살상이 서 있는 독특한 구성이다. 이 중 삼세불은 1363년 제작의 금강경변상도와 같은 판본과 유사하며, 경천사지10층석탑의 1층탑신 삼세불회를 비롯하여 원각사지 삼세불회 등과 비교된다. 그리고 보현과 문수보살, 관음과 지장보살이 함께 등장하는 배경은 나옹화상 게송의 내용과 부합되어 주목된다. 즉 나옹국사에서 상좌인 고봉화상으로 이어지는 화엄교학과 염불이 결합된 사상적 배경이 불감에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존상에 따라 각기 다른 재료를 이용한 점도 독특한데, 불감의 주존격인 삼세불과 협시보살은 금과 은을 이용하여 부처의 영원성을, 이를 지키는 금강역사상은 동을 이용하여 존격의 차이를 두는 종교적 상징성을 나타내었다. 제작시기는 관음, 두건을 쓴 지장, 삼세불과 문수, 보현의 협시보살상 등의 도상적 특징 그리고 어자문 등의 문양에서 고봉국사(1350-1428년)의 말년에 해당하는 14세기말에서 15세기초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전각형 금동불감은 고려시대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것으로 고려적 의장으로 조형화된 작품이다. 천은사 소장의 전 나옹화상 금동불감처럼 안에 봉안된 불상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장치를 두거나 후뷸탱과 불상을 봉안하여 마치 불전을 연상시키는 점은 승려들이 옮겨 다니면서 예배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이해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여말선초의 금동불감
 Ⅲ. 고봉국사 금동불감의 특징
  1. 구조와 형식
  2. 재료와 제작기법
  3. 문양
 Ⅲ. 도상적 특징과 불상 봉안 유형
  1. 도상적 특징
  2. 불상 봉안과 유형
 Ⅳ. 제작연대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정은우 Jeong Eunwoo. 동아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