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정토사상의 근원과 동아시아의 전개 - 인도ㆍ중국ㆍ한국의 아미타와 미륵 불비상(佛碑像)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Origin of the concept of a Pure Land and its Development in Far East Asia - Focusing on Amitabha and Maitreya steles in India, China and Korea

이경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Buddhist concept of a Pure Land underlying Pure Land art. The question of specificity and genericity of Pure Land art was then examined in Buddhist steles found in India, China and Korea. The idea of ‘Pure Land’ was originally formed in India, based on the idea of “Buddha in ten directions”. It was believed that Bodhisattva could be accomplished and people could be resurrected in the next life. The Pure Land idea was theoretically established by Yongsoo and Sechin in India, Damran in China and Wonhyo in Korea. Through this establishment, suggested practice techniques included “easy path”, “other-power”, Samadhi (serenity), penetrative insight (visualization), and chanting. It would be more correct to state that Amitabha already existed in India, rather than emerging from China, when the Indian Pure Land Idea was considered. According to Pratyutpanna Samadhi Sutra, in India the practice of Amitabha Samadhi was recommended before meeting Maitreya and then repeated afterwards. A Buddhist stele found in Mohammed Nari showed this uniquely Indian Bodhisattva-practice (which takes a long time with Ascetic practices) and their conception of the Pure Land. Both Amitabha and Maitreya are the Buddha encountered in the future.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times determined which Buddha to believe in the Chinese Buddhism. Hence, Amitabha Pure land was predominant in Mahayana Buddhism from the 7th century in China, together with active translation of Pure land Buddhism into art. The idea of Pure land exists not in isolation, but with a systematic structure in the Avatamska view of the world which is the culmination of Mahayana Buddhism. In Silla’s (Korea) Pure land art, the relationship between Amitabha and Maitreya, and furthermore the question of how Amitabha Pure land and Buddha (without his Pure l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re analyzed further. Because Pure land is the ultimate goal of Buddhist practice, the relationship between Amitabha and Maitreya can be viewed as a temporal relationship towards Buddhahood (the Buddha nature). Gulbulsaji Stone Buddha image of 4 directions showed Sakyamuni, Bhaisajyaguru, Maitreya and Amitabha in consecutive order and ultimately concluded with Amitabha’s western Pure land. This structure reflects Silla’s Pure land idea that Pure land is not separated from our mundane world and furthermore Pure land itself does not exist in separation. In conclusion, Pure land is not a place in heaven, but enlightenment itself. Pure land is realized through Buddha. That is, the abstract image of Amitabha is evidenced by the historical of Buddha. Buddha presented Maitreya Pure land, based on Amitabha. Such universality of Buddha represents the genericity of Pure land art, which was expressed in diverse forms throughout Far East Asia. In a formal religious practice, especially in Pure Land Buddhism, people can be liberated from ignorance, united with the nature of Buddha, and progressed towards Amitabha’s western Pure land beyond their individual boundaries.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penetrative insight (visualization). Pure land art symbolically respects the objects of penetrative insight,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theory.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NRF-2010-551-A00001].

한국어

이 연구는 정토미술의 바탕이 되는 정토사상의 근원과 발전을 살피고, 나아가 불교미술의 대표적 장르 중 하나인 불비상을 통해 정토미술이 인도, 중국, 한국 등 동아시아 3국에서 각각 어떠한 보편성과 특수성을 가지고 전개되었는지를 고 찰하고자 하였다. 정토사상은 인도에서 시방불(十方佛)의 관념을 통해 다음 생에 보살도의 완성 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기대와 정토에 재생하려는 인간의 의지를 담아 그 근원이 형성되었다. 이후 정토사상은 인도의 용수, 세친, 중국의 담란, 그리고 한국의 원 효 등에 의해 이론적으로 체계화 되었는데, 이 같은 발전 과정을 거치면서 이행 (易行), 타력(他力), 삼매(三昧), 관(觀), 염불(念佛) 등의 수행과 성취에 관한 실천 방법이 제시되었다. 인도의 정토사상을 전제로 한다면 아미타상이 중국에서만 처음으로 출현하였 다기보다 인도에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반주삼매경에 의하면 인도 에서는 정토에 이르는 주요 수행법 중의 하나로 아미타 삼매수행 후 다시 미륵불 을 만나 삼매수행을 반복하도록 하였다. 모하메드 나리에서 출토된 비상은 이처 럼 오랜 시간과 고행을 요하는 인도 특유의 보살행과 정토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 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 아미타와 미륵불은 인간이 미래에 만나는 붓다라는 똑같은 토대에서 어느 쪽을 믿는 것이 빠르고 좋은가하는 시대의 요구에 응하였다. 이에 따라 결국 7세기 이후 아미타정토는 대승불교를 압도하였으며 정토불교의 불교미술로의 재 현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대승불교의 종합인 화엄세계관에서 정토는 결코 분리되지 않으면서 체계적인 구조로 존재한다. 신라의 정토미술에서는 미륵과 아미타의 관계, 나아가 아미타의 정토와 고유 의 정토를 가지고 있지 않은 석가가 어떻게 연결되느냐의 문제를 보다 더 분석적 으로 살필 수 있었다. 대승불교의 개념을 확장시킨 법상의 범주에서 미륵과 아미 타의 관계는 정토의 실현인 불성의 깨달음으로 가는 재현체계를 이루고 있다. 굴 불사지 사면석불은 석가, 약사, 미륵, 아미타를 순차적으로 관하면서 궁극적으로 서방 아미타 정토로 귀착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는 정토가 현실의 인간세계와 분 리되어 있지 않고, 정토 그 자체도 분리되어 있지 않다고 보는 신라의 정토사상을 반영 한다. 결론적으로, 정토는 실제 ‘천상의 장소’ 가 아니라 깨달음 그 자체이다. 이러한 정토는 석가에 의해 관통된다. 곧, 추상적인 아미타는 역사적인 석가를 통해 증명 되며 석가는 아미타를 전제로 미륵정토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석가에 의해 내 재되어 있는 정토의 보편성은 동아시아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표현되었으며 종합 의 정토로 전개되었다. 형식존중주의인 종교에서 특히 정토불교는 관(觀)을 통해 무지로부터 해방되고, 불성과 일치되며, 자신 개체들의 경계를 넘어 아미타의 서 방극락세계로 들어간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정토미술은 이론에 바탕을 두고 관의 대상을 신성하게 다룬 상징미술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정토불교의 근원과 발전
  1. 정토불교의 근원
  2. 정토사상의 발전
 Ⅲ. 정토의 시각적 재현
  1. 인도의 아미타상
  2. 중국 정토미술에서 아미타와 미륵
  3. 한국 정토미술에서 석가와 아미타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경화 Lee Kyunghwa.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