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육 목표 모호성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과 적응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Adopt Themselves Toward Education Goal Ambiguity?

김승정, 김태연, 임희진, 최현진, 허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acknowledging how teachers, whom are working at the very front line of the education field are experiencing and adapting toward education goal ambiguity. For this study, 13 teachers from 3 elementary schools in Seoul region were interviewed and followings are notable results from our study. First, there were consensus among teachers that the general educational goal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should be based on personality development.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t understandings when it comes to specific practice and guideline from each teacher when trying to achieve the common goal. It was found that teachers often hold different perspectives, between student centered teaching against classroom efficiency, administrative works and various expectations they receive from different parties. As a result, such goal ambiguity allows teachers to practice discretion and autonomy when making decisions inside and outside of their class rooms. Following adapting mechanisms were used in response to such goal ambiguity which are, simpl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arbritrary prioritization of tasks and resources, acceptance of different role expectations, persuasion and application and client redefini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professionalism where it guarantees autonomy and discretion of teacher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delivering the educational goal. H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strengthening autonomy and accountability in teacher training scheme is needed and at the same time, leaders in school should provide more efficient in-training policy for their employees and encourage building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한국어

본 연구는 교육 목표 모호성에 대하여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적응하는가에 관한 연구이 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초등학교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 과, 교사들은 초등교육의 사명 목표로서 ‘기초기본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관점을 공유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과 지침에 대한 해석은 다양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교육 목표 실행에 있어서 학생 중심 교육과 수업 효율성 간의 긴장, 교육활동과 행정 업무 간의 경쟁, 교사에 대한 다양한 기대로 인한 교육 목표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 은 목표 모호성은 교육 실행 과정에서 교사들에게 자율성과 재량권을 허용한다. 이에 대한 교사들의 적응 기제는 단순화와 정형화, 우선순위에 따른 자의적 선택과 자원배분, 역할기대 의 수용, 설득과 반영, 고객의 재정의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가 교육 목표를 이해하고 실현하는 과정에서 자율과 재량권을 잘 발휘할 수 있는 전문성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사의 재량 및 자율에 대한 책임성과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각적인 노력과 교육 목표의 수용 정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1. 일선관료모형과 목표 모호성
  2. 교육 목표와 교사의 적응 기제에 관한 선행 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방법
  2. 연구 참여자
 Ⅳ. 교사의 교육 목표 인식과 적응기제
  1. 교사가 경험하는 교육 목표 인식
  2. 교육 목표 모호성에 대한 교사의 적응기제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승정 Seung Jeong Kim. 서울대학교 박사과정
  • 김태연 Tae Yeon Kim. 서울대학교 석사과정
  • 임희진 Hee Jin Lim. 서울대학교 석사과정
  • 최현진 Hyun Jin Choi. 서울대학교 석사과정
  • 허진영 Jin Yeong Heo. 서울대학교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