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recent expansion of 'Teacher invitation scheme', regional disparity has been accelerated due to the phenomenon where teachers favor certain schools and areas. Thu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cheme's impact on human resource distribution of teachers with the value of 'equity' in Korean public education system. This study focuses to see the changes in schools' characteristics after implementing the scheme and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 we estimate characteristic of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in both years 2009 and 2010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For this purpose, EDU data and official documents of requirement for invited teachers were used, and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model. Variables of school size, students’ social-economic status, students’ achievement, preferred residential areas were included to explain school characteristics. The result indicates that schools that offer higher rate of free lunch had less chance of implementing the scheme in 2009, while schools with bigger size and higher rate of student achieving above standard in math and English implemented the scheme in greater extent in year 2010. When comparing results by district level, Gangnam district's share of scheme implementation was larger in 2010 than elsewhere. Besides, as the rate of students scoring above-average in English and Math gets higher, and as a school size gets bigger, the odds ratio of implementing teacher invitation scheme gets higher. Although the original objective of the scheme was to strengthen school administrator's autonomy on human resource management, however according to our study, it was evident that there has been increase in allocation disparity since teachers favor certain types and areas of schools and that the scheme is not necessarily effective in current education scene.
한국어
초빙교사제가 2010년에 확대 실시되면서 특정 지역으로의 교사 쏠림과 이로 인한 지역 간 교육 격차 등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교원 인적자원 배분의 관점에서 초빙교사제의 실태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09년과 2010년의 초빙교사제 시행 학교의 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초빙교사제의 확대 실시가 교원인적자원 배분의 형평성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과 2010년의 초빙교사제 시행 학교의 특성을 학교 규모, 학생의 SES, 학업성취도, 거주지 변수를 중심으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분석 결과, 2009학년도에는 무료급식 학생 비율이 높은 학교일수록 초빙교사제를 시 행한 반면, 2010년도에는 영어, 수학 보통학력이상 학생들이 많고 대규모 학교일수록 초빙교 사제를 시행하였고, 강남교육지원청 관내 학교에 비해 타교육지원청 관내 학교가 초빙교사제 를 실시할 승산이 점점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또 영어와 수학의 보통이상학력 학생 수 비 율이 높을수록, 대규모학교일수록 2010년도에 새로이 초빙교사제를 실시하거나 초빙교사 수 를 늘릴 승산이 많았다. 교원인적자원 배분의 관점에서 볼 때, 현재의 초빙교사제는 우수한 교사를 좋은 여건의 학교로 모이게끔 하는 인적자원 배분의 불평등을 양산하는 기제로 작용 할 가능성이 크므로 이에 대한 정책적, 제도적 보완책 마련이 이루어져야 한다.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원 인적자원 배분과 교사 쏠림 현상(Teacher Sorting)
2. 초빙교사제의 도입과 확대
Ⅲ. 연구 방법
1. 분석 자료와 변수 선정
2. 연구 모형 및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1. 기술 통계
2. 2009년, 2010년 초빙교사제 시행 학교 특성 분석
3. 초빙교사제 시행 여부 및 초빙 규모가 달라진 학교의 특성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교육개혁위원회(1995).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 2교육부(1998). 학교운영위원회 운영 실제.
- 3교육과학기술부(2009). 학교단위 책임경영을 위한 학교자율화 추진 방안.
- 4국민권익위원회(2012). 교사 초빙제의 합리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2012.7.17).
- 5구윤옥(2012). 초빙교사제 실태 및 운영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6김민조(2010). 교사 초빙제 확대에 따른 현안과 과제. 현안보고 OR 2010-04-1. 한국교육개발원
- 7Teacher Resource Allocation and Teacher Sorting Across Schools in Korea네이버 원문 이동
- 8교육재정의 공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네이버 원문 이동
- 9교육자치에서 교원·교장 초빙제의 의미네이버 원문 이동
- 10반상진(2001). 교육재정의 공평성 평가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16(1), 199-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