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penness and Core Employment Policy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penness and core employment policy. For this study uses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HCCP). HCCP is carried out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KRIVET), 2009. A hypothetical model was proposed which was composed of job satisfaction as exogenous variabl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endogenous variables, organizational culture openness and core employment policy as moderating effects to stu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organizational culture openness is the one of mai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ly, core employment policy is also seriou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same as above.
한국어
본 연구는 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우선,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변인인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후, 두 변인간의 관계의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서 Herzberg(1967)의 2요인이론을 통해 기업구성원의 위생변인인 기업문화개방성과 인재우대정책의 인지정도를 선정하여 이들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적자본기업패널의 3차 자료 중 근로자 전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무응답자 등을 제외한 473개 기업 9,97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기업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기업문화개방성과 인재우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두 변인 모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각, 기업문화개방성과 인재를 우대하는 경향이 높은 경우는 직무만족이 증가함에 따라 조직몰입이 증가하였다. 이에 반해 기업문화개방성과 인재우대경향이 낮은 경우는 직무만족이 증가함에 따라 조직몰입이 소폭 증가하였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구성원들이 인식하는 기업문화개방성과 인재우대정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활용한다면, 높은 조직몰입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것은 경영상의 성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2.1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
2.2 기업문화개방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
2.3 인재우대와 조직몰입과의 관계
III.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측정도구
3.3 자료 분석 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