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Research on the Corporate Marketing Strategies of Global Korean Fashion Brands - Focusing on SWOT Analysis of Different Types of Inroads -
초록
영어
In today’s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 which is becoming ever more globalized, specialized, polarized, segmented, and driven by information, network, and size, the Korean fashion industry is in dire need of reviewing its overall industrial system and developing a new business model to respond to the global competition it face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rketing strategies of Korean fashion brands that are already present in overseas markets to propose future prospects and directions that Korean brands must follow in order to reinforce their global competitiveness. To do so,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1:1 interviews served as the basis for SWOT analyses of corporate marketing strateg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 differentiated business strategy must be established depending on the type of overseas advancement, and that ultimately, securing competitiveness in design, system, and marketing capacities as required by the global market is key in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ompanies. In particular, a system that supports the complementary coupling of an export-oriented company that answers to global standards on the one hand and a fashion company with brand management knowhow and design competitiveness on the other is needed. To do so, a step-by-step policy to foster strong local fashion brands is needed to which the establishment of a docking system that connects design, system, and capital capacities must also join forces. The need to define focal businesses to concentrate investments as a way to solidify product planning capacity, set up the basis for a global sourcing network to strengthen sourcing capacities, and establish a long-term globalization strategy was identified. Local fashion brands must lay the grounds for a firm foundation in planning, production, and sales to secure a strong brand power and identity within the Korean market first, after which they must pursue and manualize a strategy adapted to global standards based on product competitiveness, a coherent brand concept, and marketing capacities. It is hoped that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globalization of Korean fashion companies and brands seeking to extend their business overseas by aiding them to select and effectively apply the business strategy applicable to their capacity and needs.
한국어
국제화, 정보화, 네트워크화, 대형화, 전문화, 고급화, 세분화, 양극화 등 급변하는 최근 시장 환경에서 한국 패션은 국제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거시적인 산업 시스템의 개혁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기 진출한 한국 패션 브랜드들의 기업 마케팅 전략을 조사 연구하여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국 브랜드의향 후 전망 및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과 1:1 인터뷰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기업 마케팅 전략 중 유형별 SWOT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각 기업의 진출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비즈니스 전략 수립이 필요하며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화를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요구되는 경쟁력인 디자인, 시스템, 마케팅 역량에 대한 확보가 필수적인 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특히 글로벌 스탠더드(global standard)를 확보하고 있는 수출기업과 패션브랜드 운영 노하우 및 디자인 강점을 지닌 브랜드 운영기업의 역량을 서로 보완, 연결해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순차적인 육성정책 수립과 함께 디자인, 시스템, 자본 역량 기반을 연결하는 도킹 시스템(docking system)의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상품기획 시스템 강화를 위한 집중 지원 사업과 소싱력 강화를 위한 글로벌 소싱 네트워크(global sourcing network) 기반 구축, 장기적인 글로벌화 전략 수립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앞으로 국내 패션 브랜드 기업은 영업·기획·생산 등의 기본기를 충실히 다져 국내 마켓에서 강력한 브랜드 파워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한 후 세계 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상품력과 통일된 브랜드 콘셉트, 마케팅 능력, 그리고 이를 통합해 매뉴얼 화 할 수 있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적합한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근간으로 하여 향후 글로벌 진출을 목표로 하는 한국 패션 기업 및 브랜드가 자사의 역량에 맞는 비즈니스 전략을 선택적,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성공적인 글로벌 진출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길 기대한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II. 한국패션 산업에 대한 고찰
1. 한국패션 산업의 현황 및 경쟁여건
2. 한국 패션 브랜드의 글로벌 진출 개요
III. 해외 기 진출 한국 패션 브랜드 사례분석 및 결과
1. 솔리드 옴므(Solid Homme)(인터뷰 대상: 해외 홍보 담당자)
2. 준지(Jun.J)(인터뷰 대상: 해외 홍보 담당자)
3. 보끄레머천다이징(Beaucremerchandising)(인터뷰 대상: 해외 영업 본부장)
4. 더 베이직하우스(The Basic House)(인터뷰 대상: 해외 영업 담당자)
5. 이엑스알 코리아(EXR Korea)(인터뷰 대상: 해외 영업 담당자)
6. 이랜드(E-land)(인터뷰 대상: 해외 영업 본부장)
7. 세아상역(인터뷰 대상: 해외 사업 본부장)
8. 성주디앤디(인터뷰 대상: 해외 홍보 담당자)
9. 제일모직(인터뷰 대상: 해외 영업 담당자)
10. 엘지패션(LG Fashion)(인터뷰 대상: 해외 영업 MD)
11. 사례분석 결과
IV . 해외 기 진출 한국 패션브랜드의 진출 유형별 SWOT 분석 및 향후 전망
1. 진출 유형별 SWOT 분석
2. 진출 유형별 향후 전망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