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한성부내 궁궐 및 관청유적 출토 수입자기의 사용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Uses of Imported Porcelain Excavated in the Relics of Royal Palaces and Government Offices within Hanseongbu during Joseon

김혜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usage patterns of foreign porcelain, which used to be difficult to understand with the production sites and literature from the Joseon period, with the recently excavated relics of royal palaces and government offices.
For that purpose, the relics were categorized into royal palaces in Hanyang(Gyeongbok, Changgyeong, Changdeok, and Gyeonghee Palace), temporary palaces(Namhansanseonghaenggung and Hwaseonghaenggung), Buddhist temple sponsored by the royal family in the former half of Joseon(Hoiamsaji), and government offices within Hanseongbu, which were further divided into Dongdaemun Stadium site presumed as Hadogamji(下都監址), the sites of Cheongjin 6 District presumed as Shijeonhaengrang(市廛行廊) and government building, and Sagandong site of Saganwonji(司諫院址).
The patterns of foreign porcelain excavated from those relic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imported porcelain used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was mostly produced during Ming Dynasty and blue and white porcelain of Gyeongdeokjingye(景德鎭窯系).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here were two kinds of imported porcelain; one from Qing Dynasty, and the other from Japan.
The study examined the imported porcelain excavated from the royal palaces and government offices within Hanseongbu during Joseon by relics and periods from multilateral viewpoi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status and usage during the period. Its significance lies in that it took approaches from usage in investigating Joseon porcelain instead of production sites.

한국어

본 논문은 최근까지 조사된 궁궐유적과 한성내 관청유적을 대상으로 조선시대 생산유적과 문헌에서 미쳐 파악할 수 없었던 외국산 자기의 사용양상에 대한 구체적인 규명을 시도한 글이다.
이를 위해 대상유적을 조선 왕실유적으로는 한양 내 궁궐(경복궁, 창경궁, 창덕궁, 경희궁)과 행궁(남한산성행궁, 화성행궁), 조선전기 왕실지원 사찰이었던 회암사지로, 한성내 관청유적으로는 하도감지로 추정하는 동대문운동장유적, 시전행랑과 관청지로 추정되는 청진6지구유적, 사간원지인 사간동유적으로 분류하여 이곳에서 출토된 외국산 자기의 출토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선전기에 사용한 수입자기는 대체로 중국 명대의 생산품으로 대부분이 경덕진요계 민요산 청화백자로 파악되었다. 조선후기 국내사용 외국자기는 중국 청대자기와 일본산 자기로 크게 구분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조선의 왕실 및 한성내 관청유적의 출토품 가운데 수입자기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유적별, 시기별로 정리하여 다각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조선의 수입자기의 현황과 사용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려 하였다.
그간 생산지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조선도자의 연구를 사용의 측면에서 접근하려 한 시도라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 조선 한성부 출토 수입자기의 특징
  1. 한성내 궁궐유적
  2. 왕실관련 유적
  3. 한성내 관청유적
 Ⅲ. 시기별 수입자기의 출토양상
  1. 조선전기
  2. 조선후기
 Ⅳ. 문헌과 유물로 본 수입자기의 소비경향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혜인 Kim Hyein. (재)중원문화재연구원 조사2과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