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보안관의 업무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원문정보

An Ethnographic Study on Works of School Sheriff

김선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chool sheriff system is an institutional project to establish school's safety net designed for making 'school without violence' by arranging and managing students protecting manpower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so as to prevent school violence. School sheriff system is on the early stage, so it must be continuously complemented and developed by discussing with city's education office, related organization, etc. closely so as to it can be rapidly settled in school field.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works of school sheriff and prepare an opportunity that school sheriff can be grown to professional manpower of school safety and student protection.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of 6 school sheriffs in active service from Oct. 2012 to Dec. 2012.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abstracted as follows. The first, school sheriff's working guide is organized by school sheriff's works, attitude, record and report,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performance. School sheriff's works are patrol, support of student lead and student guidance, management of entry and exit, check of vulnerable area, guidance of students' to and from school and handling of emergencies. School sheriff's attitude is wearing of clothes and equipments, attitude and language, prohibited behavior, sincerity and sense of responsibility. They mean working time, commute, resting time out of working time and prevention of working vacuum. Record and report are that school sheriff writes situation of entry control, daily working journal and report of quarterly activity results. For the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performance, school sheriff must cooperate actively on school principal's evaluation of performance in relation to job performance. And, if he is judged to be unqualified for school sheriff as the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he must follow school's personnel management regulations, operation regulations, etc. The second, the works that school sheriff in active service recognizes are patrol, preventive activity, student lead, support of student guidance, control of entry and exit, issuing of pass, check of vulnerable area in and out of school, guidance of student's commute and handling of emergenci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this researchers intends to suggest as follows. The first, insufficiency of school sheriffs makes dead zone of school safety and student protection, so it's urgent to hire school sheriffs innovatively. The seco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school's male sheriff guides students, so it's necessary to hire school's female sheriffs. The third, authorities of school sheriffs are insufficient for student's guidance, lead and support of student's guidance. And, they should be grown to professional manpower of school safety and student protection through the hiring, education and reeducation of school sheriffs so that schools can be transparently operated without concealment of school crime.

한국어

학교보안관제도는 학교폭력예방을 위해 국․공립 초등학교에 학생보호인력을 배치․운영함으로써 ‘폭력 없는 학교’를 만들기 위해 고안된 제도적 학교안전망 구축사업이다. 학교보안관제도가 시행초기인 만큼 학교현장에서 조속히 정착될 수 있도록 시교육청 및 관련단체 등과 긴밀히 협의하여 지속적으로 보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학교보안관의 업무를 분석하여 학교보안관이 학교안전과 학생보호의 전문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직 학교보안관 6명을 2012년 10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문헌고찰과 심층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보안관 근무지침서는 학교보안관의 업무, 자세, 기록 및 보고, 근무성적 평가 및 활용으로 구성되어있다. 학교보안관의 업무는 순찰, 학생 선도 및 학생지도 보조, 출입관리, 취약지역 점검, 학생들의 등 ․ 하교 지도, 비상상황 발생 시 대처이다. 학교보안관의 자세는 복장 및 장구류 착용, 태도와 언어, 금지행위, 성실함과 책임감으로 즉 근무시간, 출퇴근, 근무 중 휴식시간, 근무공백방지를 의미한다. 기록 및 보고는 학교보안관이 출입통제 현황, 일일 근무일지, 분기 활동결과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근무성적 평가 및 활용에는 학교보안관은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학교장의 근무성적 평가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협조하여야 하며 근무성적 평가, 학교보안관으로서 부적격하다고 판정된 경우 학교 인사관리규정 및 운영규정 등에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현직 학교보안관이 인식하고 있는 업무는 순찰 및 예방활동, 학생 선도 및 학생 지도 보조업무, 출입통제 및 출입증 교부, 학교 내외 취약지점 점검, 학생들의 등하교 지도, 비상상황 발생 시 대처이다. 끝으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보안관의 인력부족으로 학교안전과 학생보호의 사각지대가 생기므로 획기적인 학교보안관의 인력채용이 시급하다. 둘째, 남성 학교보안관이 학생지도를 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여성 학교보안관의 채용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보안관에게 학생지도와 선도 그리고 학생지도 보조업무를 하는데 권한이 미비하며 학교 내에서 학교범죄를 은폐하지 않고 투명한 학교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학교보안관의 채용, 교육 및 재교육을 통해 학교안전 및 학생보호의 전문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학교폭력의 개념과 유형
  2. 학교보안관제도 추진배경
  3. 학교보안관제도에 관한 선행연구
 Ⅲ. 문화 기술학적 연구방법
  1. 연구 과정
  2. 연구 참여자의 선정
  3. 자료수집방법
  4. 문화기술적 분석
  5. 연구의 윤리성
 Ⅳ. 연구결과
  1. 학교보안관 근무지침서 분석
  2. 학교보안관이 업무분석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선아 Kim, Sun-Ah.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