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세 한・일 풍속화에 나타난 기녀복식 형태 비교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the Shape of Ginyeo Clothing in the Early Modern Genre painting, Korea to Japan

조선희, 박옥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mpared the costume of “ginyeo” (also spelled “gisaeng”, Korean females entertaining nobilities in the past) during Late Joseon Period in Korea and Edo Period in Japan.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ing. The “ginyeos” during Late Joseon Period wore costume in subdued colors but favored “norigae” (traditional ornaments worn by women) in primary colors. On the other hand, the “ginyeos” during Edo Period emphasized the contrast of colors by wearing multiple “gosodes” (traditional Japanese costume for women). The costume of Japanese “ginyeos” looked like a canvas of painting by having variety of embroideries and patterns. In addition, the “ginyeos” during Late Joseon Period exposed female body in delicate manner by showing underwear and jar-like silhouette; while the “ginyeos” during Edo Period emphasized voluptuous beauty by exposing neckline. Regarding makeup, “ginyeos” in both countries favored white skin. During Late Joseon Period, there was unique makeup of “ginyeo”, which was called “bundae-hwajang”. On the other hand, Japanese “ginyeo” had their own unique make-up such as black tooth, two-color make-up for lips and diverse eyebrow shapes. Regarding hairstyle, “ginyeos” in Late Joseon Period had uniform style which is called “unjeun-meori”. Meanwhile, “ginyeos” in Edo Period had various hairstyles. At the time, the influence of “ginyeo” in Japan was quite big and various that the name of each hairstyle is succeeded till today as unique name. In addition, “ginyeos” in both countries favored large hairstyle. It is believed that they want to demonstrate their wealth by using expensive “gache” (traditional wig for female) and assortment of hair ornaments. Regarding ornaments, “ginyeos” during Late Joseon Period used “jeonmo” (traditional sunshade cap made of bamboo) and “garima” (a large black cloth covering head but exposing face). They also used hair ornaments decorated with jewelry. Meanwhile, “ginyeos” during Edo Period used “kougai”, of which both ends are luxuriously decorated, and two or three “gusis” in various shapes on their hair. Then they added few “ganjasis” in symmetry. The characteristic of Edo Period “ginyeos” in hair is that they emphasized hair ornaments together with hairstyle.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조선후기와 에도시대 풍속화에 나타난 기녀복식의 형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의복의 경우 조선시대 기녀는 은은한 색채와 원색의 노리개를 사용하였다. 반면 에도시대 기녀는 다양한 색상의 고소데를 겹쳐 입어 색상의 대비, 다양한 자수와 문양으로 장식하여, 의복자체가 한 폭의 그림과 같았다. 또한 조선시대 기녀는 항아리형 실루엣과 속옷을 노출시켜 은근히 여체를 드러내었으나, 에도시대 기녀는 목선을 노출시켜 관능미를 나타냈다. 화장은 양국 모두 하얀피부를 선호했다. 조선시대는 ‘분대화장’이라는 기녀만의 화장이 있었다. 반면 에도시대는 다양한 눈썹 형태와 두 가지 색상의 입술화장, 치흑과 같은 일본만의 특징적인 화장법이 나타났다. 머리형태의 차이점은 조선시대 기녀는 얹은머리라는 한 가지 양식이 나타난다. 에도시대는 기녀가 했던 머리형태가 명칭으로 전해질 정도로 기녀의 영향력은 크고 다양했다. 양국의 머리형태는 공통적으로 머리를 크게 했다. 이는 값비싼 가체와 다양한 머리 장신구를 사용할 수 있음을 과시한 것으로 보인다. 장신구는 조선시대 기녀만 사용한 쓰개는 전모, 가리마로 얼굴을 드러내어 착용하였다. 또한, 보석으로 장식된 머리장신구를 착용할 수 있었다. 에도시대 기녀는 양끝이 화려하게 장식된 코우가이, 다양한 형태의 구시를 2-3개 꽂고, 대칭형으로 여러 개의 간자시를 꽂아 머리형태와 함께 크게 강조된 머리 장식이 특징적으로 보인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시대적 상황
  2.2 풍속화에 나타난 기녀복식
 3. 근세 한・일 풍속화에 나타난 기녀복식 형태 비교
  3.1 의복
  3.2 화장
  3.3 머리형태
  3.4 머리장신구
 4. 결과 및 고찰
  4.1 의복
  4.2 화장
  4.3 머리형태
  4.4 머리장신구
 5. 결론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조선희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박사과정
  • 박옥련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