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高瀬舟」와 <舟>

원문정보

Takasebune and Boat

「고뢰주」와 <주>

김옥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ri Ōgai resumed the latter years of his literary activities from 『Hanjitsu (半日)』onwards after his fourteen-year hiatus. Like 『Hanjitsu』 his latter-year literatures highlighted primarily the author’s personal lifestyles.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such a tendency was driven by the author’s agony and mental sufferings distresses into being described in the form of novel in the long run. Ōgai did not include in his lifetime collection of literatures 『Hanjitsu』 that deals with family problems and conflicts emerging between family members in a realistic manner and later started choosing not to surface his own personal problems directly in his novels. From this perspective, Ōgai described in 『Takesebune(高瀬舟)』 two important matters associated with him personally: Firstly, the incident of the death of his second son in which his son died not for natural causes but through , and secondly, the matter of to do with his personal safety described in 『Hanjitsu』 and 『Majikusu(魔睡)』. Namely, 『Takesebune』 dealt with problems with the author’s personal life and his agony medical deliberation as a surgeon by describing them not straight forwardly but indirectly, in whose process such a literary tool as plays a figurative role. In conclusion, Ōgai described in 『Takesebune』 vaguely and indistinctively-surfacing doubts or the awareness on certain matters through as a literary tool. Despite that the acts of and are not directly relevant to , Ōgai’s intent on raising a question and finding out the resolution to it through is detectable in this novel. Therefore, in 『Takesebune』 is perceived as a literary tool the author devised deliberately.

한국어

모리 오가이(森鷗外. 이하, 오가이로 씀)는 14년간의 공백을 두고, 「半日」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후기문학 활동을 재개한다. 오가이의 후기문학이 「半日」와 같이 작가의 사생활을 드러내는 작품에 주목한다. 이는 작가의 번민과 심적 고뇌가 문학의 원동력이 되어, 소설의 형태로 표현된 것이다. 가족 간의 문제를 리얼하게 다룬「半日」를 생전 전집에 수록하지 못하게 한 오가이는, 이후에 발표하는 작품에는 자신의 문제를 표면적으로 드러내지 않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오가이는 자신의 생애 최대의 비극이라 할 수 있는, 둘째 아들의 사망사건은 아들의 사망은 자연사가 아니라, <안락사>에 의한 것과 「半日」 「魔睡」에 묘사된 자신의 신변에 관한 <知足>의 문제를 「高瀬舟」에 표현한다. 즉, 사생활의 문제라든가 의사로서의 의학상의 고민을 다루는데, 「高瀬舟」에는 직접적으로 표현보다는 간접적인 표현을 취하는데, 여기 <舟>라는 요소가 있다. 결과적으로, 「高瀬舟」에서 오가이는 표면적으로 드러내지 못한 의구심이나 문제의식을 <舟>라는 장치를 통해 표현한 것이다. <안락사>와 <知足>의 행위는 <舟>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舟>를 통해 문제제기를 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오가이의 의지가 보인다. 이에 「高瀬舟」의 <舟>는 오가이의 의도적인 장치로 여겨진다.

목차

1. 들어가며
 2. <舟>를 통한 장치
 3. 「高瀬舟緣記」와 <舟>
 4. 마치며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김옥지 부경대학교(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