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特命全権大使 米欧回覧実記』에 나타나는 서양 지명 표기에 관한 연구 - 후쿠자와 유키치 자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oreign place notation in 『Beioukairanzitki』 - by comparing with Fukuzawa Yukichi’s notation-

『특명전권대사 미구회람실기』에 나타나는 서양 지명 표기에 관한 연구 - 후쿠자와 유키치 자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성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fi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foreign place notation in Meiji era and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foreign place notation in Meiji era and old Japanese notation by comparing with the documents in 『Beioukairanzitki』and those in Fukuzawa. The comparison between place notation appearing in 『Beioukairanzitki』and that in 『Sekaikunizukusi』(1869) and『Seiyouzizyou』(1866) found that the place notations that co-occur are 126 in total and that the examples of perfectly the same were 48 in total, which consists of 38% of total rate of concordance. It is clear that the liberal translation notation Fukuzawa Yukichi used for place notation is very unique and of Japanese own differently from Chinese originated notations. However, there appears no place notation by liberal translation notation in 『Beioukairanzitki』, nor is it used at present. On the contrary, the notation of 「豪洲」 appearing 『Beioukairanzitki』does not conform to the notation system conventionally used in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It was invented on Japanese own and has been in use up to the present.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presumed that 『Beioukairanzitki』 is an official document, in which the conventional notation of the time was employed. This place name has been contained in the current dictionary as standard word form and has had effect on the current place notation. Hence, 『Beioukairanzitki』has been found to be a valuable document containing place notation of Meiji era that has influenced on the current place notation.

한국어

본고는 명치기 서양 지명의 표기 실태를 밝히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米欧回覧実記』와 후쿠자와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옛 일본식 표기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米欧回覧実記』에 출현하는 서양 지명 표기와 『世界国尽』(1869), 『西洋事情』(1866)의 표기와 비교 검토한 결과, 동시에 출현하는 서양 지명은 총 126개이며 그 표기 형태가 완전히 일치하는 표기례는 총 48개로 38.0%의 일치율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후쿠자와 유키치가 지명을 표기하는데 있어 훈역의 방법을 사용한 것은 일본 고유의 독자적인 표기로서 전통적인 중국 계통 표기와 대비되는 가장 큰 차이점인 것은 분명하다. 그렇지만 『米欧回覧実記』에서 훈역에 의한 지명 표기는 출현하지 않았으며 현재도 사용되고 있지 않다. 반면 『米欧回覧実記』에 출현한 「豪洲」라는 표기는 기존에 중국과 일본 자료의 표기를 따르지 않고, 독자적으로 만든 표기로서 현재도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표기이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米欧回覧実記』는 공적 자료로서 당시 통용되던 일반적인 표기 형태가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지명이 현대 사전에도 표제어로 수록되어 표준 어형으로서 현재의 지명 표기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米欧回覧実記』는 오늘날 사용되는 지명 표기에도 영향을 미친 명치기의 지명 표기 자료로서 중요한 자료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 방법
 3.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자료와의 비교
  3.1 『米欧回覧実記』와 후쿠자와 자료에서 일치하는 지명 표기
  3.2 『米欧回覧実記』와 후쿠자와 자료에서 일치하지 않는 지명 표기
 4. 마치며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박성희 숙명여자대학교 일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