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북한 정치경제 체제의 본질과 남북교류협력사업 방향

원문정보

김동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한국은 2000년 6월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한과의 교류협력사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하였으나, 북한 변화에 있어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한국의 남북교류협력사업은 이제 북한 정치경제 체제의 본질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새로이 출발해야 한다.
북한 정치경제 체제의 핵심적 근간은 ‘정치와 경제’ 그리고 ‘국가와 사회’의 결합으로서 시장과 가격 메커니즘의 부재, 효율성과 비효율성의 판단 기준 부재, 예산제약 기능 미흡, 국가의 과도한 할당, 원자재 공급의 절대부족, 정보의 은폐·독점·왜곡 등으로 인해 모든 것이 항상 부족하고 결여될 수밖에 없는 ‘부족의 경제’이자 공모와 담합 그리고 사적연계구조에 의존하는 ‘배급과 협상의 경제’이다.
북한의 정치경제 체제는 본질적으로 비효율과 부패의 경제를 야기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현재의 체제가 유지되는 한, 외부의 지원이 투입되더라도 북한 경제의 회생과 성장은 기대 할 수 없다. 북한 정치경제 체제의 전면적인 전환 없이는 남북교류협력사업의 성과도 미미할 수밖에 없다.
향후의 남북교류협력사업은 북한 경제의 복구와 성장 지원이라는 요원하면서도 비현실적인 목표 대신, 북한의 체제 전환을 유도 및 촉진하는 한편 남북통합 및 통일한국의 기반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초록
 1. 문제 제기
  가. 남북교류협력사업의 성과 한계 노정
  나. 북한 체제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남북교류협력사업 방향의 재설정
 2. 북한 정치경제 체제의 본질
  가. 경제에 대한 정치의 지배와 사회에 대한 국가의 지배
  나. 不足(부족)의 경제
  다. 배급과 협상 그리고 부패의 정치경제
  라. 자기회복 메커니즘의 결여
  마.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경로: 성장과 쇠퇴 그리고 몰락
 3. 북한 개혁ㆍ개방 전망
 4. 남북교류협력사업 방향
  가. 북한 정치경제의 구조적 모순에 대한 명확한 인식
  나. 북한 내부의 개혁ㆍ개방 지지세력 육성
  다. 북한 주민들에 대한 포용 및 한국사회 동경 유도
  라. 남북통합 및 통일한국의 기반 조성
 주석

저자정보

  • 김동성 경기개발연구원 통일동북아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