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데올로기에 대한 매듭짓기와 매듭풀기: 『광장』과 『화두』*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oblem of Ideology in Inhoon Choi’s Novels, Kwangjang and Hwadu

조보라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deology is a key concept in Inhoon Choi’s novels. In this repect, Kwangjang raises a problem of ideology at first in Choi’s novels and Hwadu solves the problem of ideology. This study focuses the common points of Myeongjun Lee(the protagonist of Kwangjang) and the author-narrator of Hwadu. And it analyzes how Kwangjang and Hwadu treat the problem of ideology. Myeongjun Lee criticizes both South and North Korea;the one is ‘a sanctum without a square’ and the other is ‘a square without a sanctum’ or ‘a nominal square’. He tries to get a good society with square and sanctum, but can’t do it owing to the Korean War. On the other hand, the authornarrator of Hwadu visits the headquarter of ideology, America and Soviet, and argues the ideology earnestly and critically. Through this argument, he comprehends the contradiction of the ideal and the actual of Socialism and concludes that there is no ideal ideology and we have to pioneer our way reasonably. This conclusion is very abstract, but we need to focus not the conclusion itself but the ‘process’. The Koreans including the author-narrator have lived a life as a ‘slave’ in the 20th century in the respect of reality and mentality. And the author-narrator makes a conclusion by and for himself, which is an emancipation of the state of ‘slave’ and the discovery of the subjectivity of the nation. Badaeupyunji which anticipates the unification of Korea in the point of future can be interpreted in this context.

한국어

본고는 이데올로기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관점 아래 최인훈의 소설『광장』과 『화두』를 직결시켜 이해하고 있다.『광장』은 남북의 이데 올로기 문제를 본격적으로 제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최인훈의 5부작 중에 서 독특한 위치를 점하며, 『광장』 『화두』 「바다의 편지」는 연속선상에 서 이해될 수 있다. 『광장』의 이명준과 『화두』의 작가서술자는 사회주 의라는 이상적 지향을 품고 참된 이데올로기의 길을 탐구하고자 하는 욕망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명준이 한국전쟁이라는 상황 속에 더 이상 문 제의식을 발전시키지 못했다면 『화두』의 작가서술자는 냉전시대가 종 말을 고한 세계사의 변화를 기화로 이데올로기 문제를 논증적으로 사유한 다. 즉 그는 세계사를 훑으면서 사회주의의 이상과 현실의 괴리에 대해 비 판적으로 인식하고, 마지막에 ‘특정한 종말은 없으며 인간의 시간이 인간 의 것답게 하라’는 깨달음에 이른다. 이것은 기존 이데올로기의 허구성을 깨달음으로써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하게 된다는 의미가 있다. 그리고 그 와 동시에 결론에 도달한 ‘과정’ 자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20세기 전 체에 걸쳐 현실적/정신적 ‘노예’로 살아온 개인과 민족이 그 스스로의 따 짐에 의해 주체적으로 도달한 결론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는 것이다. 이 데올로기 문제는 최인훈 소설에서 하나의 중요한 ‘매듭’이다. 『광장』은 작가의 작품세 계에서 이러한 매듭을 처음으로 제기하고 있으며, 『화두』는 그 매듭을 풀고 있다는 점에서 『광장』의 문제의식의 완결판이다. 통일이 된 미래를 상상하며 한반도의 미래를 축복하는 「바다의 편지」는 이러한 맥락 아래 쓰일 수 있었다.

목차

1. 들어가며
 2.『광장』: 이데올로기에 대한 문제 제기
 3.『광장』의 이명준과『화두』의 ‘작가-서술자’ 사이의 유사성
 4.『화두』: 이데올로기에 대한 정리ㆍ결산
 5.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조보라미 Zoh Borami.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