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회의 회중과 목회자의 심리적 관계 유형에 관한 목회적 돌봄 - 자기심리학의 3가지 욕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Pastoral Care on Patterns of Psych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Pastors and Parishes - Focusing Three Need of Self Psychology

오오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einz Kohut's Self Psychology considers that mostly defective self is the psychopathological essence of people who get psychoanalysis. That is to say, patient's self seems easy to be weak, inharmonious and fragmented. And, the reason of such defective self is because in their childhood they had some troubles in self-selfobject relationship. In other word, while they were growing, they didn't experience optimal frustration but extremely hard frustration as selfobject. As a result, the state of self become distorted and stop growing without developing healthy self. Therefore people who have pathological narcissistic syndrome try their best to make up for their structural deficiency. The most basic way to heal and care them in the frame of Self Psychology is considered to help them fill their structural deficiency. That is to sympathetically understand and respond to their needs to be mirrored and idealized as selfobject which pastor and parish have in the point of pastoral care. And help them restore their confidence and possibility to control there strain themselves. This will develop selfobject transferences in selfobject, they will overcome hurt from their childhood and restruct healthy self. Therefore, in the focus of three selfobject needs in Heinz Kohut's Self Psychology, Robert L. Randall inquires into nine dynamic features about psych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pastor and parish at church and studies pastoral care in the accordance with these features.

한국어

코헛의 자기심리학은 정신분석을 받게 되는 대부분의 사람들의 정신병리 핵심이 자기결손(defective self)이라고 간주한다. 즉, 환자들의 자기는 약하고 조화롭지 않으며 파편화되기 쉬운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자기 결손의 원인은 어린 시절 자기-자기대상 관계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성장과정에서 자기대상으로 하여금 최적의 좌절을 경험하지 못하고 과도한 좌절을 경험한 사람들이다. 그 결과, 건강한 자기를 형성하지 못한 채 자기(self)의 성장이 멈춰지거나 왜곡된 상태가 된 것이다. 따라서 병리적 자기애적 자기를 가진 사람들은 평생 동안 자기의 구조적 결핍을 채워보려고 필사적으로 노력을 한다. 자기심리학의 이론의 틀 안에서 치유하고 돌볼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은 바로 자기의 구조적 결핍을 메울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것은 목회적 돌봄의 관점에서 교회의 회중과 목회자가 갖는 거울 자기대상 욕구와 이상화 자기대상 욕구 혹은 쌍둥이 자기대상 욕구를 공감적으로 이해하고, 반응하여 자신들의 자존감을 회복하고 스스로 긴장을 잘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회복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는 자기대상과의 관계에서 자기대상 전이(selfobject transferences)를 형성하고, 자기대상으로서 적절하게 반응해 줄 때, 그들의 성장발달과정에서 받았던 상처가 다시 회복 되어 건강한 자기구조가 다시 새롭게 구축하도록 돕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랜달(Robert L. Randall)이 이해하고 있는 코헛(Heinz Kohut)의 자기심리학의 3가지 자기대상 욕구를 중심으로 교회의 회중과 목회자의 심리적 관계유형에 관한 9가지의 관계역동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목회적 돌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자기와 자기대상 관계(self-selfobject relationship)
 III. 교회의 회중과 목회자의 세 가지 자기애적 욕구
 IV. 교회 회중과 목회자의 자기애적 전이 형태(Narcissistic Configurations)
  1. 공통적 이상화대상 욕구(Idealization-Merger as Mutual Needof Parish and Pastor)
  2. 교회 회중의 이상화대상 욕구와 목회자의 거울대상 욕구(Idealization Needs of Parish Meet Mirroring Needs of Pastor)
  3. 교회 회중의 이상화대상 욕구와 목회자의 쌍둥이대상 욕구(Idealization Needs of Parish Meet Alterego Needs of Pastor)
  4. 교회 회중의 거울대상 욕구와 목회자의 이상화대상 욕구(Mirroring Needs of Parish Meet Idealization Needs of Pastor)
  5. 공통적 거울대상 욕구(Grandiose - Mirroring as MutualNeeds of Parish and Pastor)
  6. 교회 회중의 거울대상 욕구와 목회자의 쌍둥이대상 욕구(Mirroring Needs of Parish Meet Alterego Needs of Pastor)
  7. 교회 회중의 쌍둥이대상 욕구와 목회자의 이상화대상 욕구(Alterego Needs of Parish Meet Idealization Needs of Pastor)
  8. 교회 회중의 쌍둥이대상 욕구와 목회자의 거울대상 욕구(Alterego Needs of Parish Meet Mirroring Needs of Pastor)
  9. 공통적 쌍둥이대상 욕구(Alterego Relating as Mutual Need ofParish and Pastor)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오현 Ohhyun Oh. 호남신학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기독교상담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