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원형을 활용한 패션상품개발을 위한 조형성 분석 - 민화 효제문자도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alysis on the formativeness for creating fashion items based on the cultural original form - Focusing on Hyojae Munjado-

장현주, 장애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s to create various fashion items with the result of analysis on formativeness of Hyojae Munjado. For this study, Hyojae Munjado was chosen as the cultural original and advanced research was carried out to analyze its formativeness through the documentary survey and study of artifacts. This study found out that Hyojae Munjado has natural beauty. It is antique chirography and has each character's symbol as patterns. Hyojae Munjado also has refined beauty. Patterns are placed inside and outside of a letter nicely to emphasize the letter. It uses light coloring technique and Jeju's Munjado has three or four sections. Not only that, it has realistic beauty. It shows the characters directly, presents landscape, and portays animalsas as well as plants realistically. Moreover it has abstract beauty. Based on yin and yang theory, it arranges colors of win-win relations harmoniously. In Jeju and the Nor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Hyojae Munjado includes shamanism. The best feature of Hyojae Munjado is that its elements are in harmony with natural beauty, refined beauty, realistic beauty and abstract beauty.

한국어

효제문자도 문화원형의 조형성을 분석한 결과를 활용하여 다양한 패션상품 개발을 시도하고자 선행연구로 효제문자도를 문화원형으로 채택하여 문헌조사와 박물관의 유물을 직접 고찰하는 방법을 통해 조형성을 분석했다. 효제문자도는 유교적 윤리관을 압축시킨 여덟 글자 즉 효, 제, 충, 신, 예, 의, 염, 치를 한 글자씩 나누어 각 폭에 관련설화에 나오는 상징물과 함께 8폭의 병풍으로 꾸민 것이다. 이것은 예스러운 서체로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각 문자의 상징물에 해당하는 문양을 그대로 문양화시킨 점, 특히 제주의 문자도에서는 제주의 자연을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연미를 발견할 수 있다. 문자를 강조하기 위해 문자내부 또는 외부에 문양을 세련되게 배치한 점, 제주도 문자도의 3,4단 구성법, 담채기법, 선묘 및 점묘법, 도식적 표현기법 등에서 세련미를 발견할 수 있다. 문자도의 문자를 직설적으로 표현한 점, 산수와 동식물을 상세하게 표현한 점 등에서 사실미를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음양이론에 근거를 둔 상생관계배색을 많이 사용한 점, 제주 및 관서지방에서는 무속신앙을 표현한 점 등에서 추상미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런 모든 미적특징은 서로 조화를 이루며 하나의 문자도에서 자연미와 세련미, 사실미와 추상미를 함께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 전통문화원형을 활용한 패션상품개발이 이루어진다면 현재 유통되고 있는 일반적인 문화상품과 차별화와 더불어 고급화, 글로벌화를 추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효제문자도의 개념
  2.2. 효제문자도의 문양과 상징성
 3. 효제문자도 문화원형의 조형성
  3.1. 색상
  3.2. 문양
  3.3. 구성
  3.4. 서체
  3.5. 표현기법
  3.6. 지역성
  3.7. 미적특성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현주 Jang hyun-joo.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부교수
  • 장애란 Jang ae-ran.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