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의 한국어 초급 교재 문화 영역 고찰

원문정보

The Comparison of Culture Utilized with Primary Korean Textbooks Facilitated in China

김명순, 란천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wadays, there are more and more Chinese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in universities. To start with culture is a very important role in language acquisition for beginners. The cultural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s to improve learners' communication abilities, stimulate the intelligent curiosity of learners, consolidate their learning motives and enhance learning effects. Also, we can make Chinese learners acquire culture of various fields through the lowered burden of domains other than culture. Therefore, in this study, I`d like to show that we can give better opportunities of studying culture to Chinese beginners by stating a way to make them learn the equivalent of a Korean textbook of culture. This paper is to analyze KFL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extbooks for beginners in China. I analyzed four kinds of KFL textbooks published in Beijing, Yanbian, Shandong, and Jilin. The textbooks were published after 2008, so they have relativity in some new tendency and include some changes of KFL in China. This paper is focused to analyze the external and internal aspects of the KFL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lture of each textbook and see which is better, so through this analysis, we could grasp current status of teaching KFL in China and explore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KFL textbook in future and proposed some solutions to this issue.

한국어

최근 중국에서 한국어교재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 본고는 최근 중국에 서 개발된 한국어교재 중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표 적인 네 가지를 선정해서 문화 영역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교재 분석 결과 내용면에서 문화 관련 내용이 특정 범주에 편중되어 있 고, 언어문화 관련 내용의 선정 기준이 없고 내용 설명이 미흡하며, 학습자 적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구성면에서는 문화 영역에 대한 독립된 체제가 고려되어 있지 못하고, 문화 관련 내용을 제시하는 위치나 제시 방식이 합리적이지 못하며, 문화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본격적인 학습 활동이 없고, 시각 자료의 사용이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고, 쓰기 기능과의 관련성을 살리지 못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에 중국의 한국어교재 문화 영역이 개선되려면 학습자의 수준과 배경 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접근할 것, 문화 영역의 내용은 생활문화를 중심으로 하되 정신문화와 관련된 내용도 비중 있게 선정할 것, 중국 문화와 비교하 여 한국 문화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이해할 수 있는 방향에서 접근할 것, 단 원을 구성할 때 문화 내용을 독립된 체제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것, 문화 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학습활동을 구안해 넣을 것, 한국 문 화와 관련된 시각 자료 사용을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교재 선정 및 분석 기준
 Ⅲ. 분석 결과
 Ⅳ. 문제점과 개선 방향
 Ⅴ.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内容摘要

저자정보

  • 김명순 Kim, Myoung-soon. 부산대학교 국어교육과
  • 란천우 Luan Chun Woo. 부산대학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