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과 대만의 경전읽기운동 연구

원문정보

中國與台灣的經典誦讀運動研究

진성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중국과 대만의 경전읽기운동은 1994년 대만 왕차이구이(王財貴) 교수에 의해 시 작되었다. 청소년의 중국문화 조기교육을 위해 민간단체 주도로 시작된 경전읽기운동은 최근 중국과 대만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점차 실시범위와 추진내용 면에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전읽기운동은 글로벌시대에 중화문화권 청소년의 도덕교육과 문화정체성을 확립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은 1949년 이후 사회주의체제 하에서 전통문화에 대한 철저한 비판과 탈피를 주장해 왔다. 특히 문화대혁명(1966-1976) 기간 중에는 공자를 중심으로 한 유교전 통문화를 철저하게 배격했다. 반면 대만은 대륙으로부터의 撤退이후 중화민족의 嫡統과 중화문명의 자존심 확보를 위해 중국전통문화의 계승‧발전을 도모해 왔다. 그러나 최근 경전읽기운동이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추진되는 과정에서 사업의 본래취지가 변질되고 있는 측면이 있다. 예를 들면, 대만의 경우에는 경전읽기운동이 국민당의 국내선거 홍보용으로 활용되고 있는 측면이 있으며, 중국의 경우에는 사회통합을 위한 애국주의교육의 일환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중국과 대만의 경전읽기운동의 현황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전개양상에서 나타난 특징을 검토함으로써 정치적 함의와 현대적 의의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중국어

中國與台灣的經典誦讀(讀經)運動起源於1994年台灣王財貴教授的兒童讀經運動, 其旨在青少年的中國文化教育. 當初在民間發起的這一系列運動, 最近得到中國與台灣政府的支持, 其實施範圍與內容逐漸擴大. 在全球化時代裏, 經典通讀運動對中華文化圈的青少年道德教育與文化認同上具有積極的作用. 中國自1949年在社會主義體制下曾對傳統文化進行全面批判與排擊. 尤其在文化大革命時期(1966-1976), 主要對以孔子為中心的儒家傳統文化進行猛烈攻擊. 在台灣方面, 國民黨政府自從大陸撤退以後, 為確保中華民族的嫡統與中華文明的自尊心, 試著繼承發展中國傳統文化. 然而經典誦讀(讀經)運動最近得到兩岸政府的大力支持後, 其活動漸呈政治色彩. 例如, 台灣的國民黨在總統競選廣告中運用了讀經活動的片断, 中國政府則運用為愛國主義教育. 本論文試圖比較中國大陸和台灣地區的經典誦讀運動現況, 並通過具體事例探討其特徵和政治含义.

목차

한글요약문
 1. 머리말
 2. 사회적 배경
  1) 대만의 심령개혁과 교육개혁
  2) 중국의 정신문명건설과 애국주의교육
 3. 전개양상
  1) 대만의 사례
  2) 중국의 사례
 4. 정치적 함의
  1) 대만의 脫中國化와 再中國化
  2) 중국의 체제안정과 通三統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진성수 陳晟秀.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